홍대용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85

STNet ID : 9001429

한자 : 洪大容
호(號) : 담헌(湛軒)
호(號) : 홍지(弘之)
기타 : Hong Dae-yong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덕보 [ 德保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학파 [ 北學派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연행사 [ 燕行使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서구 () [ 李書九 ]

RT (관련어)

 

 

삼경문변 [ 三經問辨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류리창 [ 琉璃廠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엄성 [ 嚴誠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반정균 [ 潘庭均 ]

『 律呂新書』에 대한 黃胤錫의 見解 — 『 이재난고』를 중심으로 —

Hwang, Yun-seok(黃胤錫)'s View on the Lü-Iü hsin-shu 『 律呂新書』 -Focused in Ijaenango 『 이재난고』-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 律呂新書』에 대한 黃胤錫의 見解 — 『 이재난고』를 중심으로 —

Hwang, Yun-seok(黃胤錫)'s View on the Lü-Iü hsin-shu 『 律呂新書』 -Focused in Ijaenango 『 이재난고』-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산서(算書) 연구 : 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books of Joseon Dynasty

수학교육 논문집 | 25 | 1 | 2011 | 수학교육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朴齊家 삶의 두 출로, 友情와 燕行 − 조선 후기 朝淸 神交를 살피기 위한 예비 검토 −

Friendship and Way to Beijing, Two Exits in Bak Jega's Life -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the Exchange between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of China during Late Joseon Dynasty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學과 實學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홍대용 등 북학파 실학을 중심으로

有關栗谷學和實學差別性的研究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 이덕무와 박제가를 중심으로 -

Academic Exchanges through Letters with Chinese Intellectuals of Qing Dynasty - Cases of Lee Deok-Mu and Park Je-Ga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A Study on the Independent Musical Thought of Hong, Dae-Yong and Lee, Kyu-Kyung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A Study on the Independent Musical Thought of Hong, Dae-Yong and Lee, Kyu-Kyung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조선후기 북학파 유수원과 홍대용의 교육개혁론 연구

Education reform of Yoo Soo-won and Hong Dae-yong from the Bukhak-school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서학을 만난 조선 유학의 인간 이해 — 홍대용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

View of Human Being of Chosun Confucianism confronted with Western Learning - Hong Daeyoung and Jung Yakyoung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北京대학 소장본 ≪洪湛軒尺牘≫에 대하여

Hongdamheoncheokdok(≪洪湛軒尺牘≫)in Peking(北京) University

중국어문논총 | 45 | 2010 | 중국어와문학

北京대학 소장본 ≪洪湛軒尺牘≫에 대하여

Hongdamheoncheokdok(≪洪湛軒尺牘≫)in Peking(北京) University

중국어문논총 | | 45 | 2010 | 중국어와문학

노래로서 가사의 본모습 찾기

A Survey of searching for the GASA's true face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노래로서 가사의 본모습 찾기

A Survey of searching for the GASA's true face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홍대용의 ‘경제발전론’의 현대적 조명

Modern Illumination of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of Dae-Yong Hong

경제교육연구 | 18 | 1 | 2011 | 경제교육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During Damhu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Yeon-am(燕巖), the Friendship(交友)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조청지식인의 만남과 “知己”의 표상 — 『乾淨衕筆談』을 중심으로 —

Symbol of Meeting and “Jigi(知己)” in Intellects of Joseon and Qing Dynasty - Centering on 『Geonjeongdongpildam(乾淨衕筆談)』- / Park eun jung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조청지식인의 만남과 “知己”의 표상 — 『乾淨衕筆談』을 중심으로 —

Symbol of Meeting and “Jigi(知己)” in Intellects of Joseon and Qing Dynasty - Centering on 『Geonjeongdongpildam(乾淨衕筆談)』- / Park eun jung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洪大容與淸代文士來往書信考論

洪大容과 청대 문인의 서신 교류 연구

한국학논집 | 46 | 2012 | 기타인문학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북학(北學)의 감정적 기원에 관한 시론

A study on ‘shame’ appeared in Eulbyeongyeonhaengrok -An Essay on the emotional origin of Bukhak(北學)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홍대용과 ‘實地’로서의 유리창-시장의 발견

Dae Yong Hong and Liulichang as the Silji(實地)-Discovery of Market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洪大容與淸代文士來往書信考論

洪大容과 청대 문인의 서신 교류 연구

한국학논집 | 46 | 2012 | 기타인문학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During Damhu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Yeon-am(燕巖), the Friendship(交友)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洪大容與淸代文士來往書信考論

洪大容과 청대 문인의 서신 교류 연구

한국학논집 | 46 | 2012 | 기타인문학

홍대용 『의산문답』 청나라론 단락의 구조와 의미

洪大容『医山问答』清朝论段落的构造和意义

태동고전연구 | 28 | 2012 | 기타인문학

홍대용과 ‘實地’로서의 유리창-시장의 발견

Dae Yong Hong and Liulichang as the Silji(實地)-Discovery of Market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湛軒 洪大容의 性理學的 見解 小考

Some thoughts on Confucian views of Damheon Hong Daeyong

漢文古典硏究 | 24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Hong Daeyong‘s Uisanmundap considering in interlocutory prose's creation tradition

동방한문학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Hong Daeyong‘s Uisanmundap considering in interlocutory prose's creation tradition

동방한문학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