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학파

연구분야 : A030202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전통철학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48

한자 : 北學派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이용후생파 [ 利用厚生派 ]

UF (비우선어)

 

 

중상학파

UF (비우선어)

 

 

이용후생학파 [ 利用厚生學派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실학파 [ 實學派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양호 () [ 洪良浩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득공 [ 柳得恭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덕무 (1741-1793) [ 李德懋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대용 (1731-1783) [ 洪大容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수원 () [ 柳壽垣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서명응 () [ 徐命膺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지원 () [ 朴趾源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개화파 [ 開化派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용후생 [ 利用厚生 ]

isConceptOf (개념(전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제가 (1750-1805) [ 朴齊家 ]

중화주의 균열이 초래한 주체의식의 혼란과 극복의 서사 - <태원지> -

A narration about confusion of identity caused by crack in sinocentrism and overcoming it - -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湛軒 洪大容의 性理學的 見解 小考

Some thoughts on Confucian views of Damheon Hong Daeyong

漢文古典硏究 | 24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주체와 도덕의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 眞假 담론 I- 낙학파와 북학파의 천기론을 중심으로 -

The Discourse on Truth and Untruth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 and Morality - About the Theory of Cheongi of the School of Nakhak and the School of Bukhak -

양명학 | 31 | 2012 | 철학

주체와 도덕의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 眞假 담론 I- 낙학파와 북학파의 천기론을 중심으로 -

The Discourse on Truth and Untruth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 and Morality - About the Theory of Cheongi of the School of Nakhak and the School of Bukhak -

양명학 | 31 | 2012 | 철학

박제가의 對淸회화교류와 청 회화의 인식

Park Jega’s paintings exchange and understanding of the Ching’s paintings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朝鮮時代 指頭畵에 대한 인식과 제작양상 : 18∼19세기를 중심으로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Finger Paintings in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Joseon Korea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조선후기 북학파 유수원과 홍대용의 교육개혁론 연구

Education reform of Yoo Soo-won and Hong Dae-yong from the Bukhak-school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