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72

STNet ID : 1001123

한자 : 朴趾源
호(號) : 연암(燕巖)
호(號) : 연상(煙湘)
음차어 : Park Jiwon
동의어(UF) : 연암 박지원(燕巖朴趾源)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중미 [ 仲美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학파 [ 北學派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연행사 [ 燕行使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서구 () [ 李書九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북학 사상 [ 北學思想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옥 () [ 李鈺 ]

RT (관련어)

할아버지/손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필균 () [ 朴弼均 ]

RT_Y (◄관련어)

가족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규수 [ 朴珪壽 ]

RT_Y (◄관련어)

관련인물

y02-01 문헌명 문헌명

녹앵무경 [ 綠鸚鵡經 ]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

The Discourse of Friend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atteo Ricci's On Friendship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

The Discourse of Friend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atteo Ricci's On Friendship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

The Discourse of Friend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atteo Ricci's On Friendship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

The Discourse of Friend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atteo Ricci's On Friendship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and Kondon-sya(混沌社) in Osaka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and Kondon-sya(混沌社) in Osaka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언진과 일본문사의 왕세정 관련 필담

Conversation with Writings on Wang Sejeong of between Lee Unjin and Japanese Writers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이언진과 일본문사의 왕세정 관련 필담

Conversation with Writings on Wang Sejeong of between Lee Unjin and Japanese Writers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마장전(馬駔傳)>의 담화 구성 방식 연구 -박지원의 글쓰기 전략과 그 반성적 특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Discourse in Majang-Jeon(馬駔傳, a Tale of Horse-Broker)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환희기(幻戱記)」 재론(再論) ― 연암(燕巖)의 정치적 알레고리(allegory) 분석의 일고(一考)

Rereading 「Hwanhuigi(幻戱記)」 ― Focusing on Yeon-am(燕巖)'s Political Allegory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환희기(幻戱記)」 재론(再論) ― 연암(燕巖)의 정치적 알레고리(allegory) 분석의 일고(一考)

Rereading 「Hwanhuigi(幻戱記)」 ― Focusing on Yeon-am(燕巖)'s Political Allegory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대건 가문의 신분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Social Status of the Family of Father Kim Daekeon

교회사연구 | 37 | 2011 | 교회사

김대건 가문의 신분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Social Status of the Family of Father Kim Daekeon

교회사연구 | 37 | 2011 | 교회사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隨槎錄』의 내용을 『熱河日記』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esthetics of the YeounHang燕行 narrativ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17·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Unfolding of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 in 17·18th century, and Emergence of 'Bukhak Thoughts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Unfolding of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 in 17·18th century, and Emergence of 'Bukhak Thoughts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陽明心學的 서예미학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Calligraphy Influenced by Yang Ming's Philosophy of Min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燕巖 朴趾源의 士意識

Yeon-am Park Ji-won's spirit of Classical Scholar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철학의 역사와 의미의 역사, 성리학자와 연암 박지원: 이기론 연구방법론 재검토

The State of the Art: Korean Neo-Confucian Philosophy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필담의 문화사 ―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Cultural History of Written Conversation ―An East Asian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Late Joseon Intellectua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연암 박지원의 생태 글쓰기와 그 양상-생태 글쓰기에 대한 시론(試論)-

Yeon-Am, Park Ji-Won's Ecology Writing and Its Aspect-An Essay of Ecological Writing-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박지원 利用厚生論의 미적 기반

he Aesthetic Foundation of Li-Yeong-Hu-Saeng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heory of Park, Ji-Won.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隨槎錄』의 내용을 『熱河日記』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esthetics of the YeounHang燕行 narrativ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호질>의 원작자, 맥락으로 다시 읽기

The Writer of Ho Jil, Rereading in terms of External Contex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연암 박지원의 生態 美意識

Yeon-Am, Park Ji-Won’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암 박지원의 生態 美意識

Yeon-Am, Park Ji-Won’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熱河日記』 燕巖形象 一考

A Study of Yeonam Image in “Yeolha Ilgi”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熱河日記』 燕巖形象 一考

A Study of Yeonam Image in “Yeolha Ilgi”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21세기 문명과 박지원의 생태 정신

The Civiliz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Park, Ji-won's Ecological Thought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21세기 문명과 박지원의 생태 정신

The Civiliz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Park, Ji-won's Ecological Thought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21세기 문명과 박지원의 생태 정신

The Civiliz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Park, Ji-won's Ecological Thought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21세기 문명과 박지원의 생태 정신

The Civiliz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Park, Ji-won's Ecological Thought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隨槎錄』의 내용을 『熱河日記』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esthetics of the YeounHang燕行 narrativ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호질>의 원작자, 맥락으로 다시 읽기

The Writer of Ho Jil, Rereading in terms of External Contex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朴趾源의 「虎叱」 구성과 표현 방식

The Method of Structure and Expression in ‘Ho Jil’ of Park, Ji Wo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燕巖 朴趾源의 自得的 學藝意識과 得眞的 書畵認識

关于燕岩朴趾源自得学艺意识与得真书畵认识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朴趾源의 ‘眞’ 문학론 一考 - 金聖嘆과 袁宏道의 영향관계를 통해서 -

Park, Ji-won(朴趾源)'s 'Jin(眞)' literature theory - through Kim, Seong-tan(金聖嘆) and Won, Goeng-do(袁宏道)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朴趾源의 創新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on of Park Jee-won's Ch'angsin Calligraphic Aesthetics

서예학연구 | 17 | 2010 | 서예

朴趾源의 創新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on of Park Jee-won's Ch'angsin Calligraphic Aesthetics

서예학연구 | | 17 | 2010 | 서예

朴趾源의 ‘眞’ 문학론 一考 - 金聖嘆과 袁宏道의 영향관계를 통해서 -

Park, Ji-won(朴趾源)'s 'Jin(眞)' literature theory - through Kim, Seong-tan(金聖嘆) and Won, Goeng-do(袁宏道)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通过文化交流进行中韩文学文化教育的研究

A Study of the Literary and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rough Cultural Exchanges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燕巖의 우정론과 西學의 영향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을 중심으로-

View of Friendship by Park Ji-won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Centered on On Friendship(交友論) by Matteo Ricci-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암 박지원의 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y of Yeonam Park, Ji Won's Painting

조형교육 | 41 | 2011 | 미술교육

연암 박지원의 글쓰기 과정 考

The study of Yeon Am, Ji Won, Park’s writing process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燕巖 朴趾源의 書藝認識에 關한 硏究 -文學論과 相同性을 中心으로-

A Study on Yeonam Park Ji Won's View on Calligraphy -Centered on his Comments on Literature and Sameness-

동양예술 | 15 | 2010 | 기타미술

燕巖 朴趾源의 書藝認識에 關한 硏究 -文學論과 相同性을 中心으로-

A Study on Yeonam Park Ji Won's View on Calligraphy -Centered on his Comments on Literature and Sameness-

동양예술 | | 15 | 2010 | 기타미술

朴趾源의 創新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on of Park Jee-won's Ch'angsin Calligraphic Aesthetics

서예학연구 | 17 | 2010 | 서예

朴趾源의 創新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on of Park Jee-won's Ch'angsin Calligraphic Aesthetics

서예학연구 | | 17 | 2010 | 서예

연암 박지원의 牧民書,『七事考』

Yeon-am Bak Ji-won's Book of Local Administration, Chilsago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 박지원의 牧民書,『七事考』

Yeon-am Bak Ji-won's Book of Local Administration, Chilsago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에 나타난 연암의 관심사

A matter of Yeon-am's interest in Do-gang-rok(渡江錄)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20세기 초~중반 ‘燕巖’에 대한 탐구와 조선학의 지평 - ‘연암’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2) -

Research on “Yeon-am” in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Prospect of Joseon Studies - Formation and Its Origin of Classic Called “Yeon-am”(2)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연암 박지원의 生態 美意識

Yeon-Am, Park Ji-Won’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박지원의 생태적 시각과 그 의미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of Park Ji-W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박지원의 생태적 시각과 그 의미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of Park Ji-W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The Meaning and Aspect of Shaping Space in Ji-Won, Park’s Literature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박지원 서(序)의 서두 글쓰기 전략

The Writing Strategy of the preface in the introduction in Park Ji-Won’s Writings.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A Study on Yeonahmjip Housed in Toyo Bunko, Japan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A Study on Yeonahmjip Housed in Toyo Bunko, Japan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朴趾源의 ‘眞’ 문학론 一考 - 金聖嘆과 袁宏道의 영향관계를 통해서 -

Park, Ji-won(朴趾源)'s 'Jin(眞)' literature theory - through Kim, Seong-tan(金聖嘆) and Won, Goeng-do(袁宏道)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열녀함양박씨전』 재론

A Review on Park Ji Won's 『Yeolnyeo Hamyang Parksijeon』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 상하 다시 읽기—

An Aspect of Boyi Accep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rereading of Boyiron(two volumes) of Yeonam Park Jiwon -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朴趾源의 「虎叱」 구성과 표현 방식

The Method of Structure and Expression in ‘Ho Jil’ of Park, Ji Wo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岩朴趾源與淸文人的交流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k Ji Won and Qing Literatus

중국연구 | 55 | 2012 | 중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 상하 다시 읽기—

An Aspect of Boyi Accep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rereading of Boyiron(two volumes) of Yeonam Park Jiwon -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열녀함양박씨전』 재론

A Review on Park Ji Won's 『Yeolnyeo Hamyang Parksijeon』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A Study on Yeonahmjip Housed in Toyo Bunko, Japan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A Study on Yeonahmjip Housed in Toyo Bunko, Japan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박지원의 생태적 시각과 그 의미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of Park Ji-W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박지원의 생태적 시각과 그 의미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of Park Ji-W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Yeonam'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based on his five writings on virtuous wome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Yeonam'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based on his five writings on virtuous wome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巖의 우정론과 西學의 영향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을 중심으로-

View of Friendship by Park Ji-won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Centered on On Friendship(交友論) by Matteo Ricci-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지원 서(序)의 서두 글쓰기 전략

The Writing Strategy of the preface in the introduction in Park Ji-Won’s Writings.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The Meaning and Aspect of Shaping Space in Ji-Won, Park’s Literature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