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37

STNet ID : 1000631

한자 : 熱河日記

y02-01 문헌명

저작자

박지원 (朴趾源)

저작년_t

178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연암집 [ 燕巖集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일기 문학 () [ 日記文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록 [ 燕行錄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일야구도하기 [ 一夜九渡河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옥갑야화 [ 玉匣夜話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호질 [ 虎叱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란섭필 [ 銅蘭涉筆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법고창신 [ 法古創新 ]

RT (관련어)

관련 문헌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연행사 [ 燕行使 ]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말의 국제질서―변동하는 조공책봉 관계의 증언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Experienced by Yeolha Envoys -The Witness of Fluctuating Tribute-Investiture Relations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말의 국제질서―변동하는 조공책봉 관계의 증언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Experienced by Yeolha Envoys -The Witness of Fluctuating Tribute-Investiture Relations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말의 국제질서―변동하는 조공책봉 관계의 증언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Experienced by Yeolha Envoys -The Witness of Fluctuating Tribute-Investiture Relations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말의 국제질서―변동하는 조공책봉 관계의 증언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Experienced by Yeolha Envoys -The Witness of Fluctuating Tribute-Investiture Relations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생 이야기’에 설정된 서사적 단층(斷層)과 역설

Narrative-leaps and the paradox in The tale of Heo-Saeng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허생 이야기’에 설정된 서사적 단층(斷層)과 역설

Narrative-leaps and the paradox in The tale of Heo-Saeng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隨槎錄』의 내용을 『熱河日記』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esthetics of the YeounHang燕行 narrativ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the Recognition of Qĩng(淸)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and Park Jiwon(朴趾源)-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에 나타난 연암의 관심사

A matter of Yeon-am's interest in Do-gang-rok(渡江錄)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필담의 문화사 ―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Cultural History of Written Conversation ―An East Asian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Late Joseon Intellectua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도강록서」, 『열하일기』를 위한 위장 를 위한 위장

A Study of Doganglok-seo (渡江錄序) as a Disguised Spring and Autumn Righteous Cause (春秋大義)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열하일기』이본(異本)의 재검토

Re-examination of Yeol-ha-il-gi's Different Versions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隨槎錄』의 내용을 『熱河日記』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esthetics of the YeounHang燕行 narrativ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허생전>의 시대정신과 현대적 적용의 문제

A Study on Subject of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and Spirit of the times i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생전>의 시대정신과 현대적 적용의 문제

A Study on Subject of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and Spirit of the times i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熱河日記』 燕巖形象 一考

A Study of Yeonam Image in “Yeolha Ilgi”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熱河日記』 燕巖形象 一考

A Study of Yeonam Image in “Yeolha Ilgi”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환희기(幻戱記)」 재론(再論) ― 연암(燕巖)의 정치적 알레고리(allegory) 분석의 일고(一考)

Rereading 「Hwanhuigi(幻戱記)」 ― Focusing on Yeon-am(燕巖)'s Political Allegory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熱河日記≫中的幾個漢語語音問題試析

Analysis on Several Chinese Phonetic Problems Revealed in "Yeol Ha Il Gi(熱河日記)"

중국학논총 | 33 | 2011 | 중국어와문학

對≪熱河日記≫中所反映出的一些語言現象的考察

Analysis on Several Chinese Expressions Revealed in "Yeolha-Ilgi(≪熱河日記≫)"

중국학논총 | 37 | 2012 | 중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