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질

연구분야 : A1104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소설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60

STNet ID : 1001049

한자 : 虎叱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R] 유학자의 위선 ()

S:동의

UF (비우선어)

 

 

범의꾸중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연암집 [ 燕巖集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열하일기 [ 熱河日記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희학 소설 () [ 戱謔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소설 () [ 漢文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실학파 문학 [ 實學派文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허생전 () [ 許生傳 ]

RT (관련어)

 

 

관내정사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북학(北學)의 감정적 기원에 관한 시론

A study on ‘shame’ appeared in Eulbyeongyeonhaengrok -An Essay on the emotional origin of Bukhak(北學)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북학(北學)의 감정적 기원에 관한 시론

A study on ‘shame’ appeared in Eulbyeongyeonhaengrok -An Essay on the emotional origin of Bukhak(北學)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 속 동물 주인공의 의미와 위상 - <金現感虎> ․ <虎叱> ․ <서동지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aning and status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animals in The Classic Novel of Korea - Focus on -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朴趾源의 「虎叱」 구성과 표현 방식

The Method of Structure and Expression in ‘Ho Jil’ of Park, Ji Wo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朴趾源의 「虎叱」 구성과 표현 방식

The Method of Structure and Expression in ‘Ho Jil’ of Park, Ji Wo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호질>의 원작자, 맥락으로 다시 읽기

The Writer of Ho Jil, Rereading in terms of External Contex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호질>의 원작자, 맥락으로 다시 읽기

The Writer of Ho Jil, Rereading in terms of External Contex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