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사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13

한자 : 燕行使

a01-06-02 인간(지위/벼슬)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록 [ 燕行錄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사신 () [ 使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청나라 (1616-1912) [ 淸-- ]

RT (관련어)

관련 문헌

y02-01 문헌명 문헌명

열하일기 [ 熱河日記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지원 () [ 朴趾源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대용 (1731-1783) [ 洪大容 ]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 認識樣相 考察 -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Consideration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on the ‘Section of Dongpalcham’ Shown in Yeonhaengsi-Focusing on the settlement perio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 認識樣相 考察 -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Consideration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on the ‘Section of Dongpalcham’ Shown in Yeonhaengsi-Focusing on the settlement perio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朝鲜燕行使者与十八世纪北京的琉璃厂

The Korean Envoys and the LiuliChang in Beijing of the 18th century.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朝鲜燕行使者与十八世纪北京的琉璃厂

The Korean Envoys and the LiuliChang in Beijing of the 18th century.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認

明末朝鲜對于“朝鲜监护论”的认识

명청사연구 | 33 | 2010 | 역사학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認

明末朝鲜對于“朝鲜监护论”的认识

명청사연구 | | 33 | 2010 | 역사학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認

明末朝鲜對于“朝鲜监护论”的认识

명청사연구 | 33 | 2010 | 역사학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認

明末朝鲜對于“朝鲜监护论”的认识

명청사연구 | | 33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The Citation and perception of the Odes shown in the Korea-Japan and Korea-China's Diplomatic Conversations during Joseon Dynasty

중국어문논총 | 53 | 2012 | 중국어와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