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응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1

STNet ID : 9001198

한자 : 徐命膺
호(號) : 보만재(保晩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군수 [ 君受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학파 [ 北學派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형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서명선 () [ 徐命善 ]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의 道敎修鍊觀에 대한 一考

King Jeongjo’s View of the Discipline for Taoism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道敎修鍊觀에 대한 一考

King Jeongjo’s View of the Discipline for Taoism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서명응의 선천역학 정립과 시대적 의의: [선천사연]을 중심으로

Establishment and Periodical Implication of Seo Myeong Eung’s Sun-Chun-Yeok-Hak: Based on 『Sun-Chun-Sa-Yeon』

철학연구 | 98 | 2012 | 철학

서명응의 선천학적 수양론 형성 연구

Seo Myeong-Eung's self-cultivation theor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Xiantian learning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保晩齋 徐命膺의『參同攷』硏究 - 】『周易參同契』의 先天學的 解釋 -

On Bomanjae Seo Myeong-Eung's Chamdonggo (參同攷):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保晩齋 徐命膺의『參同攷』硏究 - 】『周易參同契』의 先天學的 解釋 -

On Bomanjae Seo Myeong-Eung's Chamdonggo (參同攷):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