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774

STNet ID : 1000393

한자 : 朴齊家
호(號) : 정유(貞蕤)
호(號) : 초정(楚亭)
호(號) : 위항도인(葦杭道人)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저작

북학의 (北學議)

이론/사상

실학 (實學)

직업

실학자 (實學者)

생몰년_t

1750-1805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수기 [ 修其 ]

UF (비우선어)

 

재선 [ 在先 ]

UF (비우선어)

 

차수 [ 次修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반정균 [ 潘庭均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학파 [ 北學派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서구 () [ 李書九 ]

RT (관련어)

친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해응 () [ 成海應 ]

正祖의 生生字・整理字 제작과 中國活字 購入

The Production of Saengsaengja and Jeongnija Types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Import of Chinese Wooden Types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正祖의 生生字・整理字 제작과 中國活字 購入

The Production of Saengsaengja and Jeongnija Types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Import of Chinese Wooden Types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 이덕무와 박제가를 중심으로 -

Academic Exchanges through Letters with Chinese Intellectuals of Qing Dynasty - Cases of Lee Deok-Mu and Park Je-Ga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17·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Unfolding of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 in 17·18th century, and Emergence of 'Bukhak Thoughts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Unfolding of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 in 17·18th century, and Emergence of 'Bukhak Thoughts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1790년 熱河 使行의 ‘二道井~熱河’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탐색

Anthropogeographical Study on the Section "Erdaojing(二道井)~Rèhe(熱河)" in Diplomatic Trip to Rehe(熱河) in 1790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Percep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by the Middle Caste (Jungin) Doctor in the Early 19th Century Described in Buyeon Ilgi

역사교육논집 | 45 | 2010 | 역사학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Percep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by the Middle Caste (Jungin) Doctor in the Early 19th Century Described in Buyeon Ilgi

역사교육논집 | | 45 | 2010 | 역사학

박제가의 對淸회화교류와 청 회화의 인식

Park Jega’s paintings exchange and understanding of the Ching’s paintings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호저(縞紵)의 정: 黃丕烈과 朴齊家, 柳得恭 사이의 交遊에 대한 고증

A Study on Friendship between HUANG Pilie and Korean Scholar PAK Jega, YU Deokgong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朴齊家 삶의 두 출로, 友情와 燕行 − 조선 후기 朝淸 神交를 살피기 위한 예비 검토 −

Friendship and Way to Beijing, Two Exits in Bak Jega's Life -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the Exchange between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of China during Late Joseon Dynasty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박제가 삶의 마음속 出路, 燕京의 友情

The Psychological Escape in the Life of Bak Je-Ga, Friendship in Yanjing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박제가의 직업사상 − 이익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

The Occupation Thoughts of Bak Je-Ga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제가의 직업사상 − 이익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

The Occupation Thoughts of Bak Je-Ga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楚亭 朴齊家의 書藝美學思想 硏究

关于楚亭朴齊家的書法美學思想的硏究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Pastoral Awareness from Saga’s Chinese Poetry - Focused on Hangaekgunyounjib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Pastoral Awareness from Saga’s Chinese Poetry - Focused on Hangaekgunyounjib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楚亭 朴齊家의 書藝美學思想 硏究

关于楚亭朴齊家的書法美學思想的硏究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楚亭朴齊家與淸文人文學交遊考述

박제가와 청조 문인들의 교유에 대한 고찰

중국과 중국학 | 17 | 2012 | 지역학일반

朴齊家의 繪畵와 題畵詩에 나타난 ‘際’와 ‘感通’의 미학 -작품의 상호텍스트성과 결속성을 중심으로 하여-

Aesthetics of ‘Je’[際] and ‘Gamtong’[感通] in Park Je-ga’s Paintings and Poems on Paintings -focused on their intertextuality and coherence-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