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321

STNet ID : 1002614

한자 : 柳得恭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혜보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학파 [ 北學派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서구 () [ 李書九 ]

RT (관련어)

친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해응 () [ 成海應 ]

RT_Y (◄관련어)

관련인물

y02-01 문헌명 문헌명

녹앵무경 [ 綠鸚鵡經 ]

1790년 熱河 使行의 ‘二道井~熱河’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탐색

Anthropogeographical Study on the Section "Erdaojing(二道井)~Rèhe(熱河)" in Diplomatic Trip to Rehe(熱河) in 1790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조선후기 ‘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Log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Nambukgukron (南北國論)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Log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Nambukgukron (南北國論)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호저(縞紵)의 정: 黃丕烈과 朴齊家, 柳得恭 사이의 交遊에 대한 고증

A Study on Friendship between HUANG Pilie and Korean Scholar PAK Jega, YU Deokgong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Pastoral Awareness from Saga’s Chinese Poetry - Focused on Hangaekgunyounjib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Pastoral Awareness from Saga’s Chinese Poetry - Focused on Hangaekgunyounjib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泠齋 柳得恭의 한역시가 <東人之歌> 연구

On Dong-in-ji-ga: A Collection of Translated Korean Vernacular Poems by Ryu Deukgong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朝鮮 세시풍속서 서술의 특징과 의의 - ‘中國’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description of books of Seasonal Customs in Joseon Dynasty from the latter-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hina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수정본 ≪渤海考≫의 내용과 집필 시기

The Contents and Writing Time of Revised Version of the Balhaego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수정본 ≪渤海考≫의 내용과 집필 시기

The Contents and Writing Time of Revised Version of the Balhaego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京都雜志』 연구 - 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

The genealogy of the seasonal customs' book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 The process of writing and the examination of a different written version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