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서의 ‘질서의 문학’과 친일파시즘
‘Literature of the Order’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재서의 ‘질서의 문학’과 친일파시즘
‘Literature of the Order’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내선일체라는 환상
Loneliness of korean and anxiety of japanes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육당 최남선의 시조정리사업과 그 의미 -『가곡선』과 『시조유취』를 중심으로
Choi Nam Seon's Sijo Rearrangement project and its meanings-Focused on "Gagokseon" and "Sijo-Youchui"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사이 : 스코틀랜드 계몽과 국민문학
「普遍主義」と「普遍性」のあいだ : スコットランド啓蒙と「国民文学」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내선일체라는 환상
Loneliness of korean and anxiety of japanes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과 매체
The Media and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ures in Daejeon and Chungnam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과 매체
The Media and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ures in Daejeon and Chungnam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Joseon literary-man association and 'peninsular Japanese writer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Joseon literary-man association and 'peninsular Japanese writer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총동원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소설
戦争と歴史: 総動員体制における崔載瑞の日本語小説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총동원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소설
戦争と歴史: 総動員体制における崔載瑞の日本語小説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상의 감각과 국가적 삶의 경계 -정인택 소설의 내적 논리-
Jeong In-Taek's novels of the internal log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상의 감각과 국가적 삶의 경계 -정인택 소설의 내적 논리-
Jeong In-Taek's novels of the internal log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일제말기 소설과 ‘자기’의 정치 - 이석훈 소설론
A Novel in the Late Colonial Period and ‘Self’ Politics- A study on Lee, Suk-Hoon'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종한 시에 나타난 전쟁의 수사와 경계인의 자의식
Rhetoric of war and consciousness of marginal man in the poetry of Kim Jong Han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람의 문학사 서술 시각과 방법 ― <국문학전사>의 <고전문학사>와 <국한문학사>를 중심으로 ―
Perspective and Method on the Description of the Garam's History of Literature ― Around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n 'Gukmunhakchunsa' ―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운 전쟁’과 일본 전후문학의 사상공간
“A New War” and the Discourse about Literature in Postwar Japan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국민문학’의 문제
The Problem of Kokumin Bungaku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
‘친일문학’과 문학교육
‘Pro Japanese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조 일본인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일제’말기 일본 국민 창출 양상 -「국민문학(國民文學)」에 발표된 현직 교사의 작품을 중심으로-
在朝日本人作家の小説における植民地時代末期の'国民'創出の様相 -「国民文学」に掲載された現職教師の作品を中心に-
일본문화연구 |
39 |
2011 |
일본어와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국민문학』의 일본인 작가와 식민지 표상
The Japanese writer in and Representation of Colonial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민문학』의 신진 비평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f the a new critics of the "kukmin-munhak(國民文學)"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민문학』의 신진 비평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f the a new critics of the "kukmin-munhak(國民文學)"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언어정책과 국민문학―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Language Policies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일본근대학연구 |
34 |
2011 |
일본문화학
완전한 존재를 향한 불가능한 꿈 - 최재서의 ‘국민문학’ 담론의 심리 구조 -
An impossible dream toward the existence of whole thing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완전한 존재를 향한 불가능한 꿈 - 최재서의 ‘국민문학’ 담론의 심리 구조 -
An impossible dream toward the existence of whole thing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民文學」을 통해 본 田中英光의 전쟁문학 - 「黒蟻と白雲の思い出」, 「月は東に」, 「吳王渡」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ar Literature of Hidemitsu-Danaka in 『Gukminmunhak』
일어일문학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國民文學」을 통해 본 田中英光의 전쟁문학 - 「黒蟻と白雲の思い出」, 「月は東に」, 「吳王渡」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ar Literature of Hidemitsu-Danaka in 『Gukminmunhak』
일어일문학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