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

연구분야 : B050401 사회과학 > 경영학 > 인사/조직관리 > 인사관리/노사관계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590

한자 : 年俸制

d02-03 경제경영제도

대상2

종업원 (從業員)

목적_t

임금을 주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성과기준 임금전략 () [ 成果基準 賃金戰略 ]

isKindOf (상위 유형)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급여 체계 [ 給與體系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균등 대우 [ 均等待遇 ]

isAffectedBy (영향요인)

 

 

업무 성과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연공 서열 제도 [ 年功序列制度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성과급 [ 成果給 ]

대학 내부노동시장의 경제 분석과 정책 대응 - ‘M’ 대학의 사례 -

Economic Analyses of a Korean University’s Internal Labor Market and Related Policy Issues - The Case of the ‘M’ University -

노동경제논집 | 33 | 1 | 2010 | 경제학

대학 내부노동시장의 경제 분석과 정책 대응 - ‘M’ 대학의 사례 -

Economic Analyses of a Korean University’s Internal Labor Market and Related Policy Issues - The Case of the ‘M’ University -

노동경제논집 | 33 | 1 | 2010 | 경제학

제도적 동형화와 상징적 동조: 연봉제의 사례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Symbolism: The Case of Performance Based Pay in Korean Firm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제도적 동형화와 상징적 동조: 연봉제의 사례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Symbolism: The Case of Performance Based Pay in Korean Firm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기업의 연봉제가 기업내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 34 | 2 | 2011 | 경제학

연봉제와 동기부여 - 조직 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 -

Merit Pay and Motivation - A Multilevel Analysis of Organizational Moderators -

경영사연구 | 27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연봉제하에서의 퇴직금중간정산의 유효성 및 부당이득의 성립 여부 - 대판(전합) 2010. 5. 20, 2007다90760 판결을 중심으로 -

The Legality and the Possibility of Unjust Enrichment of Installment Severance Payment under the Annual Salary System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Relevant En Banc Supreme Court Decision-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연봉제하에서의 퇴직금중간정산의 유효성 및 부당이득의 성립 여부 - 대판(전합) 2010. 5. 20, 2007다90760 판결을 중심으로 -

The Legality and the Possibility of Unjust Enrichment of Installment Severance Payment under the Annual Salary System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Relevant En Banc Supreme Court Decision-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연봉제와 동기부여: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Merit pay and motivation: Moderation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6 | 3 | 2012 | 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