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

연구분야 : B1201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 교육사학

클래스 : 교육기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86

한자 : 鄕校
영어 :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a02-02 교육기관

목적_t1

유학 교육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학교 [ 學校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유학 () [ 儒學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유교 문화 () [ 儒敎文化 ]

RT (관련어)

관련 제도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관학 [ 官學 ]

RT (관련어)

관련 직업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교임 [ 校任 ]

RT (관련어)

활동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고목 [ 告目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관련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향교집강 [ 鄕校執綱 ]

hasOpposition (대항/억제)

사학/관학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서원 (조선) [ 書院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남원향교 [ 南原鄕校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대정향교 [ 大靜鄕校 ]

전주지역 士林의 發見 및 鄕校周邊 士林의 주체적 삶

Discovery of classical scholars of Junju-zone and the subjecthood of classical scholars in Hyanggyo-circumference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주지역 士林의 發見 및 鄕校周邊 士林의 주체적 삶

Discovery of classical scholars of Junju-zone and the subjecthood of classical scholars in Hyanggyo-circumference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Bansu at Sunggyungwan in Joseon Dynasty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

김종직(金宗直)의 경전강학(經典講學)과 사회실천론

Kim Jong Jik's Scripture Studies and Social Practices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기 州縣 社稷壇 설치의 의미와 그 실제

The Establishment of Local(州縣) Sajik-dan/社稷壇 Altars in Joseon

한국문화 | 56 | 2011 | 기타인문학

高等敎育機關으로서 朝鮮時代 鄕校의 敎育理念과 役割

The role and ideology of education of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e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高等敎育機關으로서 朝鮮時代 鄕校의 敎育理念과 役割

The role and ideology of education of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e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lifestyle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lifestyle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鄕校의 전국 분포 및 역사

Nationwide Distribution and History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鄕校의 전국 분포 및 역사

Nationwide Distribution and History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현대적 활용방안 모색

A modern developmental model for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