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리쾨르의 에두르기 철학 :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La philosophie du détour chez Paul Ricoeur : autour du problème de la compréhension de soi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조지훈 시론의 보편성 연구 ― ≪시의 원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Universality in Cho Ji-Hoon's Poetics-Laying Stress on Principle of Poetry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지훈 시론의 보편성 연구 ― ≪시의 원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Universality in Cho Ji-Hoon's Poetics-Laying Stress on Principle of Poetry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A Alternatives and Suggestion to the Curriculum for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التكرار فى مسرح توفيق الحكيم ودوره فى تشكيل النص المسرحى "دراسة أسلوبية
Repetition in the theater Tawfiq al-Hakim and his role in the formation of theatrical text "stylistic study"
중동문제연구 |
11 |
2 |
2012 |
지역학
현대 공간디자인에서의 현상학적 특징과 가능성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in the contemporary spatial design -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of Perception of M. Merleau-Ponty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2 |
2011 |
디자인
불교의 인식론과 서양의 인식론에 관한 비교연구 - 디그나가·다르마끼르띠·로크·칸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Epistemology and the Epistemology in the Western philosophy-In the view of Dignāga, Dharmakīrti, Locke, Kant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칠레와 브라질 우리(we)세대의 통합 현상 행정
Chilean and Brazilian Integration Phenomenology of We-generation's Administration
스페인어문학 |
62 |
2012 |
기타스페인문학
조나단 에드워즈의 『종교적 정서』와 나사니엘 호손의 『블라이드데일 로맨스』: 새벽을 깨우는 나팔소리
Religious Affections and The Blithedale Romance: the Trumpet Sound Dispelling Sleep at Day-break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조나단 에드워즈의 『종교적 정서』와 나사니엘 호손의 『블라이드데일 로맨스』: 새벽을 깨우는 나팔소리
Religious Affections and The Blithedale Romance: the Trumpet Sound Dispelling Sleep at Day-break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 시를 통해 본 감각과 존재에 대한 성찰
Reflection on Sense and Existence with Kim Choon-Soo’s Poetry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순자(荀子)의 자연관과 인간이해
荀子的自然觀與人間理解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韓國仙道의 ‘一 · 三 · 九論(三元五行論)’과 日本神道
‘The idea of vitality' appeared in ’the idea of the substance and phenomena of being' of Korean Sundo(韓國仙道) and Japanese Shinto(日本神道)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1920년대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권오설의 옥중서신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Hermeneutic Study on Every Day'sLife in the 1920's―On the Corresponding Letter Kwon Oh Sul Wrote in the Prison
한국민족문화 |
42 |
2012 |
기타인문학
듀이의 실재관과 교육
J. Dewey’s View of Re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원불교 일원상 진리와 사은의 관계에 관한 논의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l-Won(一圓) and Fourfold Grace(四恩) in Won-buddh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2 |
2012 |
원불교학
Exploring Introduction Moves in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응용언어학 |
28 |
3 |
2012 |
언어학
풍수의 지리와 한의학의 몸, 왜 동일시되는가? -氣論의 탐색-
why the body of east asian medicine and topography of pungsu(風水) is thought to be same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물음의 현상학, 무의 존재론: 물음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Phenomenology of Questioning, Ontology of Nothingness : Questioning and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메를로-퐁티 현상학으로 본 부석사 공간 연구
A Study on Space of Pu Sok Sa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3 |
2012 |
디자인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에 관한 연구 - 개념과 현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sion in Modern Fashion - Based on Concepts and Phenomena -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에 관한 연구 - 개념과 현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sion in Modern Fashion - Based on Concepts and Phenomena -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본체와 현상의 공속 - 원효와 하이데거 대화의 접점 -
Togetherness of Noumenon and Phenomenon - A Starting Point of Dialogue between Wonhyo and Heidegger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