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불가능성의 장소: 이문열의 소설 속 어느 장소-기반 공동체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
The Place of Undecidability: A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a Place-Based Community in Mun-Yol Yi's Fictio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결정불가능성의 장소: 이문열의 소설 속 어느 장소-기반 공동체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
The Place of Undecidability: A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a Place-Based Community in Mun-Yol Yi's Fictio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들뢰즈의 배움론 :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Deleuze's Apprenticeship(Apprendre)
교육문제연구 |
39 |
2011 |
교육학
Fragments of a Vessel: Aspects of Walter Benjamin’s Translation Theory
부서진 파편의 복원:발터 벤야민의 번역관
인문학연구 |
40 |
2 |
2012 |
기타인문학
A Case Pilot Study to Investigate Family Experiences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Using In-depth Interviews
미국의 조기중재 프로그램에서의 장애 영유아 가족 경험의 사례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학
A Case Pilot Study to Investigate Family Experiences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Using In-depth Interviews
미국의 조기중재 프로그램에서의 장애 영유아 가족 경험의 사례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학
1970년대 이후 영국‘신미술사(New Art History)’의 방법론: 클락(T. J. Clark)과 폴록(G. Pollock)의 미술사 담론의 형성과 영향
Methods of‘ New Art History’in British Terrain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 art historical perspectives of T. J. Clark and G. Pollock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Desire and Censorship in Astrid Trotzig’s Blod är tjockare än vatten
아스트리드 트롯찌의 『피는 물보다 진하다』에 나타난 욕망과 검열
세계문학비교연구 |
37 |
2011 |
문학
‘포스트’ 시대 질적 연구방법론의 경향과 논리: 해체와 생성의 패러다임
Trends and the logi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ost-” era: The paradigm of deconstruction and becoming
유아교육연구 |
31 |
6 |
2011 |
교육학
종교사회학과 ‘사회종교학’: 기독교사회학의 사회 변혁적 관점
Sociology of Religion and "Sociology of Society": Social Transformative Aspect of Christian Sociology
기독교사회윤리 |
22 |
2011 |
기독교신학
글로벌리즘(Globalism)의 본질
The Essence of Globalism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이미지와 텍스트의 해체적 실행으로서의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 80년대까지의 싱글채널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Gary Hill's video art in 1980's as destructive execution of image and text
미술이론과 현장 |
12 |
2011 |
미술
사르트르 한국 수용사 연구 - 구조주의 및 후기구조주의 흐름 속에서의 사르트르 수용 -
Etude sur la réception de Sartre en Corée - Réception de Sartre dans les courants de structuralisme et de poststructuralisme -
프랑스어문교육 |
3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유럽에서의 근대성위기와 시대진단의 담론들
Die Modenitätskrise und Diskurse der Zeitdiagnose in Europa
유럽헌법연구 |
8 |
2010 |
헌법
유럽에서의 근대성위기와 시대진단의 담론들
Die Modenitätskrise und Diskurse der Zeitdiagnose in Europa
유럽헌법연구 |
|
8 |
2010 |
헌법
짙은 정책학 -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Thick Policy Studies: How Can We Do Post-Positivist Policy Studies?
한국정책학회보 |
19 |
4 |
2010 |
정책학
짙은 정책학 -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Thick Policy Studies: How Can We Do Post-Positivist Policy Studies?
한국정책학회보 |
19 |
4 |
2010 |
정책학
해체미학의 선구 머스 커닝엄
Merce Cunningham -the Pioneer of the Deconstructive Aesthetics
무용예술학연구 |
35 |
35 |
2012 |
무용
시각적 재현과 주체, 언어와의 관계: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의 미술교육에의 함의
Post-structural Hermeneutic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Subject,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미술과 교육 |
13 |
2 |
2012 |
미술이론
중-한 번역에서의 문화 조절과 권력담론 - 중-한 광고텍스트 번역의 자국화와 이국화를 중심으로
Cultural Modulation in Chinese into Korean Translation and Power Discourse
통번역학연구 |
16 |
2 |
2012 |
통역번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