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726

STNet ID : 1001079

한자 : 石窟庵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R] 세계 문화 유산 (世界文化遺産)

국보 (國寶)

유형/장르

석굴 (石窟)

제작자

김대성

제작시대

남북국 시대 (南北國時代)

소재지

경주 (慶州)

지정호수_t

국보 제24호

지정일자_t

1962-12-20

주소_t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873-243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석불사

UF (비우선어)

 

 

석굴암 석굴

B2:전체

BT (상위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암자 [ 庵子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 [ --世界遺産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사천왕 () [ 四天王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11면 관음상 [ 十一面觀音像 ]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통일신라 수용과 전개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th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 in United Silla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향가의 서정주체와 불국사·석굴암의 조성 방식

Lyricism subject of Hyang-ga and development of Bulguksa and Seokguram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한국미술사의 구축과 석굴암의 ‘再맥락화

The Formation of the Korean Art History as a Field of Stud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Re-contextualization’ of Sogguram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한국미술사의 구축과 석굴암의 ‘再맥락화

The Formation of the Korean Art History as a Field of Stud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Re-contextualization’ of Sogguram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신라인물 김대성의 원형과 스토리텔링 창작

신라문화 | 37 | 2011 | 역사학

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

A Perspective of Yanagi Muneyoshi on the Sokkul-am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

A Perspective of Yanagi Muneyoshi on the Sokkul-am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