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왕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준인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3458

한자 : 四天王
동의어(UF) : 사대천왕(四大天王)
동의어(UF) :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

a01-07 준인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호법신 () [ 護法神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남(南)

 

증장천왕 () [ 增長天王 ]

hasComponent (구성요소)

동(東)

 

지국천왕 () [ 持國天王 ]

hasComponent (구성요소)

북(北)

 

다문천왕 () [ 多聞天王 ]

hasComponent (구성요소)

서(西)

 

광목천왕 () [ 廣目天王 ]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석굴암 [ 石窟庵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통도사 [ 通度寺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수미산 [ 須彌山 ]

RT (관련어)

 

 

육욕천 () [ 六欲天 ]

황룡사 중금당 佛眷屬 16존상의 복원-불제자상,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리고 공양자상-

Restoration of the Figures of Buddha’s 16 Dependents in the Main Hall of the Hwangryongsa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북방 다문천의 보탑 도상 해석- 도상 형성 원인과 원·고려 이전의 양상 -

Analysis of Stupa Icons of Vaiśravaṇa –The causes of icon development and patterns before the Yuan and Koryo Dynasties–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북방 다문천의 보탑 도상 해석- 도상 형성 원인과 원·고려 이전의 양상 -

Analysis of Stupa Icons of Vaiśravaṇa –The causes of icon development and patterns before the Yuan and Koryo Dynasties–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사천왕상 배치형식의 변화 원리와 조선시대 사천왕 명칭

The changed principle of the placement form of the Four Deva’s images, and the Four Deva’s names in the Joseon dynasty

美術史論壇 | 30 | 2010 | 미술

사천왕상 배치형식의 변화 원리와 조선시대 사천왕 명칭

The changed principle of the placement form of the Four Deva’s images, and the Four Deva’s names in the Joseon dynasty

美術史論壇 | | 30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