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884

한자 : 通度寺

Y04 기념물명(문화재)

유형/장르

사찰 (寺刹)

제작자

자장 (慈藏)

제작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소재지

양산 (梁山)

주소_t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지산리 583)

제작(설립)년도_t

646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불보사찰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영축산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 공간 공간

삼보사찰 [ 三寶寺刹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통도사 대광명전 [ 通度寺大光明殿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사천왕 () [ 四天王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덕여왕 (632-647) [ 善德女王 ]

尹月下(1915~2003)의 종단정화운동과 개혁활동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Buddhist Reformation activities of Yun, Wolha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寺刹契

A Study on a Buddhist temple service and Temple Fraternities in Late Chosun Dynasty

禪學(선학) | 28 | 2011 | 응용불교학

조선시대 對日 使行과 梁山

Envoy’s Visit to Jap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Yangsan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경봉의 수행ㆍ교화ㆍ불법수호의 원융상

A Study on the idea of 'Wonyung' or 'One Harmony in Universe' Kyungbong pursues according to asceticism, moralization and Buddhist tenets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Independence Movement Fund Support of Kim, Gu-Ha who was the Abbot of Tongdosa(Temple) During Japanese Ruling Era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산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Pigments on Wall Paintings at Yeongsanjeon in Tongdo Temple Using a Field-XRF

문화재 | 44 | 3 | 2011 | 역사학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

A Study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