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문화

연구분야 :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B19060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출판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94

STNet ID : 9005382

한자 : 讀書文化

c03-03 문화/생활

원인_t

책의 본질을 구성하고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2-01 감정 감정

읽기 흥미 () [ --興味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대중 문화 () [ 大衆文化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전자책 [ 電子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독서 교육 () [ 讀書敎育 ]

야담 연구의 대중화 방안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Research on Yadam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독서 관련 신문 보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Book-Reading Issue Related Newspaper Reports

한국출판학연구 | 36 | 1 | 2010 | 신문방송학

독서 관련 신문 보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Book-Reading Issue Related Newspaper Reports

한국출판학연구 | 36 | 1 | 2010 | 신문방송학

청소년 대상 독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A Study on Development of Reading Program for Adolescent.

언어와 문화 | 7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E-book의 활용에 따른 독서문화 변화의 특성 연구

Changes in Reading Culture with the Advent of E-books

한국출판학연구 | 37 | 1 | 2011 | 신문방송학

책 미디어의 발전과 독서문화의 변화

Die Entwicklung der Lesemedien und der Wandel der Lesekultur

인문과학 | 47 | 2011 | 기타인문학

독서 문화 텍스트 구성과 소설 교육 - <소설 신문 만들기>를 중심으로

Reading Culture Text Construction and Novel Education - Focused on ‘Making Novel Newspapers’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일제말기의 독서문화와 근대적 대중독자의 재구성(1) -일본어 책 읽기와 여성독자의 확장-

Essay on Reading Culture at the Close of the Colonial Period and Reformation of Modern Popular Reader(1) -Focused on Reading Japanese Books and Woman Reader-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독서문화와 근대적 대중독자의 재구성(1) -일본어 책 읽기와 여성독자의 확장-

Essay on Reading Culture at the Close of the Colonial Period and Reformation of Modern Popular Reader(1) -Focused on Reading Japanese Books and Woman Reader-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Reading Culture and Function of Criticism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Reading Culture and Function of Criticism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