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교육

연구분야 :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35

STNet ID : 1000274

한자 : 讀書敎育
영어 : reading educatio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독서 지도 [ 讀書指導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독서 교육 연구 [ 讀書敎育硏究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독해 [ 讀解 ]

hasKind (종류)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미시적 독서지도 [ 微視的 讀書指導 ]

hasKind (종류)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거시적 독서지도 () [ 巨視的讀書指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기능적 문식성 () [ 機能的文識性 ]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독서 문화 () [ 讀書文化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독서 능력 () [ 讀書能力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독서지도 프로그램 [ 讀書指導 -- ]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교정적 독서 [ 矯正的讀書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독서 발달 단계 () [ 讀書發達段階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독서 태도 () [ 讀書態度 ]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메이킹북 프로그램 [a making-books program]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메이킹북 [makingbook]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독서능력 진단평가 () [ 讀書能力診斷評價 ]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Sixty Yea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교육연극

Teaching Reading Using Picture Books Pla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교육연극

Teaching Reading Using Picture Books Pla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初學者를 위한 朝鮮朝 文人의 讀書方法論 小考

Scholar's reading method theory during Chosun Dynasty for beginners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初學者를 위한 朝鮮朝 文人의 讀書方法論 小考

Scholar's reading method theory during Chosun Dynasty for beginners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개념도를 활용한 독서교육 연구 ― 퇴계의 <聖學十圖>를 중심으로 ―

he study about reading education using key map - focus on 『Seonghaksipdo』 of Toegy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aboration of Text Complexity for the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1) -Focused on Critical Perspectives about Text Complexity Researche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동화책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Fairy-Tale Book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phone and Web browser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16 | 2 | 2012 | 컴퓨터교육학

중등 상업용 교육 도서의 비판적 검토

A Study on the Standard of Secondary School Level Trade Books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소설과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content categorization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ith novel and poem texts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The Ministry of Education’s New Reading Education Policy : Analysis and Proposal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The Ministry of Education’s New Reading Education Policy : Analysis and Proposal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A Study on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and ‘Lifelong Reading Education’

석당논총 | 4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A Study on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and ‘Lifelong Reading Education’

석당논총 | | 47 | 2010 | 기타인문학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북아트를 활용한 독서 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ading Instruction Using Book Art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북아트를 활용한 독서 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ading Instruction Using Book Art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The study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of integrated essay-writing through reading education activities.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The study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of integrated essay-writing through reading education activities.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Finding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Finding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교양교육 과정과 연계한 독서인증제에 대한 고찰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Connected Wi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비판적 읽기’ 범주 설정 및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The Study on Categorizing and Systematizing Critical Reading as the Educational Contents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서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ading Educa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청소년학연구 | 19 | 3 | 2012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