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문화

연구분야 : B080000 사회과학 > 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64

한자 : 大衆文化
영어 : Mass Culture
영어 : Popular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국민 문화 () [ 國民文化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현대 대중 문화 [ 現代大衆文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대학 문화 [ 大學文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홍콩 대중 문화 [ 香港大衆文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아시아 대중 문화 [ --大衆文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독서 문화 () [ 讀書文化 ]

hasPhenomenon (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팬덤 [fandom]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아이돌 [idol]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대중 문화 교류 [ 大衆文化交流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대중 문화 전파 [ 大衆文化傳播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대중 문화 시장 [ 大衆文化市場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대중 수요 [ 大衆需要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한류 관광 () [ 韓流觀光 ]

RT (관련어)

 

 

대중 매체 () [ 大衆媒體 ]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스타 마케팅 [star marketing]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시각문화 미술 교육 () [ 視覺文化美術敎育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크로스오버 [crossover]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한류 수출 [ 韓流輸出 ]

RT (관련어)

관련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일상 문화 [ 日常文化 ]

RT (관련어)

대응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고급 문화 () [ 高級文化 ]

RT (관련어)

유사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중 문화 () [ 民衆文化 ]

‘낭만적 거짓’, 예술, 그리고 상업주의: 포크너의 야생 종려나무/예루살렘, 내 너를 잊는다면

"Romantic Deceit," Art, and Commercialism: A Study of William Faulkner's The Wild Palms/If I forget thee, Jerusalem

현대영미소설 | 19 | 2 | 2012 | 영어와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개작 양상 -<화충선생전>을 중심으로-

Adapting Aspes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for Lending —Focused on Hwachungsunsaengjeon—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텍스트와 생성텍스트

The pheontext and genotext of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텍스트와 생성텍스트

The pheontext and genotext of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The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in the 1960s and Comics as Media - Centered on the Comic, “Ashita no Joe(Tomorrow's Joe)”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The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in the 1960s and Comics as Media - Centered on the Comic, “Ashita no Joe(Tomorrow's Joe)”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youth) in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The Competitio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 Revival of Nation,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and Trace of Popular Cultur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초/국적 시대 민족주의 정치학과 대중문화의 역학 : ‘재범 사건’의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Jaebum Controversy', Politics of Nationalism and Popular Culture

언론과 사회 | 18 | 3 | 2010 | 신문방송학

초/국적 시대 민족주의 정치학과 대중문화의 역학 : ‘재범 사건’의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Jaebum Controversy', Politics of Nationalism and Popular Culture

언론과 사회 | 18 | 3 | 2010 | 신문방송학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

Several Considerations on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 Focused on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Since 1990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

Several Considerations on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 Focused on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Since 1990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초 국가주의적 문화의 이동과 한국 속 ‘동남아 현상’

The movement of transnational culture and 'Southeast Asian Phenomena' in Korea

한국태국학회논총 | 18 | 1 | 2011 | 지역학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Study on Contents Selection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Study on Contents Selection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민중미술의 유산과 '포스트 민중미술'

Legacy of Minjoong Art and ‘Post Minjoong Art’

현대미술사연구 | 28 | 2010 | 미술사

식민지 조선의 ‘성’과 웃음 - 식민지 공공영역과 재담(집)의 근대 -

‘Sexuality’ and ‘Laugh’ in Colonial Choseon - the colonial public sphere and the modernity of Witticisms -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정체성의 구성과 균열- 20대 여성주의자와 아이돌 사이에서

Constitution and Disruption of Identities: Between Feminist and Idol since the Early 2000s.

문화와 사회 | 12 | 1 | 2012 | 문화/종교사회학

「동ㆍ서양 문화비교」로 본 한류 -새로운 대중문화의 가능성-

Korean Wave Viewed from ‘Comparison of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e Possibility of New Popular Culture-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그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ches about SICAF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2 | 2011 | 예술일반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왜곡된 남한 상(像)’

A Study on the North Koreans’ Acceptance of South Korean Media and Their “Distorted Images of South Korea”

통일정책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제언과 전망 -한류 및 중국문화 관련 문헌의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Critical Suggestions and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ve and its Culture Industry -Focusing on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Korean Wave and the Chinese Culture and In-depth Interviews-

우리춤과 과학기술 | 7 | 2 | 2011 | 무용

문화 이론의 쟁점과 청소년 연구에의 적용

Issues in Cultur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on Youth Studies

미래청소년학회지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문화 이론의 쟁점과 청소년 연구에의 적용

Issues in Cultur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on Youth Studies

미래청소년학회지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1930년대 경성 카페 문화의 스토리 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ory Map of Kyungsung's Cafe Culture in the 19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경성 카페 문화의 스토리 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ory Map of Kyungsung's Cafe Culture in the 19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프랑스 문화정책 준거의 발전과 문화의 민주화

L'évolution du référentiel des politiques culturelles françaises et son procédé de démocratisation culturelle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인의 한류에 대한 태도가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Korean Wave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Japanese’s Visit Intentions

산업혁신연구 | 28 | 2 | 2012 | 경영전략/정책

미술교육에서의 광고 미학

Advertising Aesthetics in Art Education

조형교육 | 37 | 2010 | 미술교육

미술교육에서의 광고 미학

Advertising Aesthetics in Art Education

조형교육 | | 37 | 2010 | 미술교육

KBS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역사 : 국가 만들기 양식

A History of KBS Program : Nation Building

방송문화연구 | 23 | 1 | 2011 | 신문방송학

대중문화의 향유와 가족이데올로기의 위기: 미국드라마에서 소녀시대까지

The Crisis of the Ideology of Family and American Soap-opera: Focusing on Subjectification and Desire

신학과 사회 | 25 | 1 | 2011 | 기타인문학

개혁개방이후 중국문화산업의 정책적 발전과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Policy since its Reform-open Policy

Journal of China Studies | 13 | 2012 | 중국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일문화교류의 성격과 상호관계의 변화

歴史的観点から見た韓日文化交流の性格と相互関係の変化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7 | 2010 | 일본문화학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일문화교류의 성격과 상호관계의 변화

歴史的観点から見た韓日文化交流の性格と相互関係の変化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7 | 2010 | 일본문화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in Southeast Asia and the Transnational Flow of Cultural Taste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3 | 1 | 2012 | 신문방송학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ponse of Korean Literature and Mass-culture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ponse of Korean Literature and Mass-culture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Understanding Fandom Induced Tourism: Problems and Strategies for the Korean Wave Tourism

팬덤관광에 관한 이해: 한류관광의 문제점과 대처전략

GRI연구논총 | 12 | 2 | 2010 |

Understanding Fandom Induced Tourism: Problems and Strategies for the Korean Wave Tourism

팬덤관광에 관한 이해: 한류관광의 문제점과 대처전략

GRI연구논총 | 12 | 2 | 2010 |

예술로서의 대중오락 -칼 발렌틴의 희극성

Massenunterhaltung als Kunst -Komik bei Karl Valenti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Bertolt Brechts "Epische Oper" ― Eine Untersuchung zu Brechts musiktheatralischem Experiment

독어독문학 | 51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Bertolt Brechts "Epische Oper" ― Eine Untersuchung zu Brechts musiktheatralischem Experiment

독어독문학 | 51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1910년대 김교제 소설의 대중화 전략 연구 -『동양서원』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Strategy of Kim, Kyo-je Novel in 1910s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김교제 소설의 대중화 전략 연구 -『동양서원』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Strategy of Kim, Kyo-je Novel in 1910s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별 주체의 형성과 대중문화의 소통에 대한 연구 -수용미학에서 본 영화 <왕의 남자>와 주체담론-

A Study on Formation of the Individual Subjects and Communications of the Popular Culture - and the Subject Discourse from the Aspect of Aesthetics of Perception-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쿵주(空竹)놀이의 변용과 축제화 과정-베이징(北京)과 바오딩(保定) 쿵주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festival of an kongzu-centered on baoding and beijing kongzhu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Poststructuralist approaches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Korean popular danc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0 | 1 | 2012 | 무용

포스트헤게모니 시대의 문화정치: 쾌락, 권력관계 그리고 대중문화

Cultural Politics in the Age of Post-Hegemony: Pleasure, Power and Popular Culture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포스트헤게모니 시대의 문화정치: 쾌락, 권력관계 그리고 대중문화

Cultural Politics in the Age of Post-Hegemony: Pleasure, Power and Popular Culture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The Great Faulkner in Hollywood: The Impact of Film on the Works of William Faulkner in the 1930s

헐리웃에서의 위대한 포크너: 1930년대 윌리엄 포크너의 작품에 나타난 영화의 영향

세계문학비교연구 | 34 | 2011 | 문학

브레히트 예술론의 또 하나의 토대 - 브레히트의 예술론과 대중문화

Eine andere Grundlage für Brechts Kunsttheorie - Brechts Kunsttheorie und die Massenkultur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류 대중문화의 탈근대적 역사성과 보편성

Trans-modern Historicity and Universality in Hallyu Mass Culture

비평과이론 | 17 | 1 | 2012 | 영어와문학

복음주의 운동의 대중적 문화 미디어 필그림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68 | 2010 | 기독교신학

복음주의 운동의 대중적 문화 미디어 필그림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68 | 2010 | 기독교신학

음식 스토리텔링과 만화: 일본 음식만화의 무협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Food Storytelling and Mass Media

글로벌문화콘텐츠 | 8 | 2012 | 기타인문학

신한류의 리더, K-Pop의 ‘수사학적 힘’ 분석

A Rhetorical Analysis of K-Pop Power

수사학 | 15 | 2011 | 기타인문학

뉴에이지 운동과 종교사회학의 지평

A Study on the New Age Movement and Sociology of Religion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뉴에이지 운동과 종교사회학의 지평

A Study on the New Age Movement and Sociology of Religion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취향문화로서 대중문화의 고급문화 차용(借用)이 고급문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MUJI의 Thonet Chair Redesign 사례 중심으로-

Popular Culture's Positive Influence on High Culture as Taste by Borrowing Contents and Forms from High Culture. -With a Focus on the Thonet Chair redesigned by MUJI-

디자인학연구 | 25 | 1 | 2012 | 디자인

K-pop 스타의 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Style of K-pop Stars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2 | 2 | 2012 | 의상

The Korean Wave (Hallyu) in East Asia: A Comparison of Chinese, Japanese, and Taiwanese Audiences Who Watch Korean TV Dramas

Journal of Asian Sociology | 41 | 1 | 2012 | 사회학

민중미술에 차용된 대중문화의 양상 : 알레고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Appropriated Mass Media Images in Minjung Art : Specialized in the Allegorical Meanings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인과 중국인의 문화소비에서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특성 및 차이: 한류와 한풍 현상을 중심으로

Cultural Consumption of Koreans and Chinese: A Focus on Hallyu and HanFeng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인과 중국인의 문화소비에서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특성 및 차이: 한류와 한풍 현상을 중심으로

Cultural Consumption of Koreans and Chinese: A Focus on Hallyu and HanFeng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중문화 허브(popular culture hub)로서 서울의 부상: 최근 한국 대중문화 속 “동남아 현상”과 관련하여

The rise of Seoul as a "popular culture hub"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usic industry: With regards to the recent "Southeast Asian Phenomena" in the Korean popular culture

한국소통학보 | 17 | 2012 | 휴먼커뮤니케이션

현대미술이 내포하는 키치표현과 대중예술의 상징성

Kitsch expression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symbolism of the popular arts

한국디자인포럼 | 32 | 2011 | 디자인

청년예배 현상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

A Study on the Contemporary Worship for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신학과 실천 | 30 | 2012 | 기독교신학

대중독자의 독서 양상과 비판적 읽기 필요성

Reading Aspects of Popular Reader and Critical Reading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독자의 독서 양상과 비판적 읽기 필요성

Reading Aspects of Popular Reader and Critical Reading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섬유패션에 적용된 그래피티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raffiti Design in Textile Fash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섬유패션에 적용된 그래피티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raffiti Design in Textile Fash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Dirty Cleans”: 조이스, 음란성, 그리고 검열

“Dirty Cleans”: Joyce, Obscenity, and Censorship

제임스조이스저널 | 17 | 1 | 2011 | 영어와문학

프랑켄슈타인과 과학규범

Frankenstein and Scientific Norms

담론201 | 15 | 1 | 2012 | 사회학

문화 취향에 따른 대중문화 블로그 이용 특성 연구

The Effects of Cultural Tastes on Blog Uses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9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랩 음악에 대한 매체미학적 고찰 : 키에르케고어, 크라카우어, 벤야민으로부터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Rap Music in Viewpoint of Aesthetics of Media : from S. Kierkegaard, S. Kracauer and W. Benjamin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랩 음악에 대한 매체미학적 고찰 : 키에르케고어, 크라카우어, 벤야민으로부터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Rap Music in Viewpoint of Aesthetics of Media : from S. Kierkegaard, S. Kracauer and W. Benjamin

미학예술학연구 | 31 | | 2010 | 기타예술체육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The Communication and the Sympathy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Mass media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라틴아메리카 문화적 정체성 연구 -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tin American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Popular Culture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라틴아메리카 문화적 정체성 연구 -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tin American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Popular Culture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선데이 서울』에 나타난 여성의 유형과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women through 'Sunday Seoul'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선데이 서울』에 나타난 여성의 유형과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women through 'Sunday Seoul'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전후 일본의 족(族) 문화와 ‘천황’의 부재(不在)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달(月)」에 나타난 젊은 세대의 문화 ―

Cultural Tribe of Postwar Japan And Absence of Tenno ― The Young Generation's Culture in Mishima Yukio's Moon ―

아시아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후 일본의 족(族) 문화와 ‘천황’의 부재(不在)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달(月)」에 나타난 젊은 세대의 문화 ―

Cultural Tribe of Postwar Japan And Absence of Tenno ― The Young Generation's Culture in Mishima Yukio's Moon ―

아시아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Girl group의 토탈 코디네이션에 표현된 이미지 연구 -헤어, 메이크업, 의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otal cordination Expressed in the image of Girl group -focused on hair, make-up, clothes-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2 | 1 | 2011 | 미용

文化变迁与大众传播之应用

Cultural Change and mass communication of the application

유라시아연구 | 8 | 4 | 2011 | 기타사회과학

일본인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onsumption of Korean Pop Culture -Centering on their Consumption of Korean TV Soap Opera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4 | 2010 | 심리과학

일본인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onsumption of Korean Pop Culture -Centering on their Consumption of Korean TV Soap Opera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4 | 2010 | 심리과학

한국의 법률직 TV 드라마에 나타난 법의식과 법률가의 이미지 - <애드버킷>에서 <검사 프린세스>까지

Legal Consciousness and Images of Lawyers as Reflected in Korean Legal TV Dramas - From to

서울대학교 법학 | 51 | 3 | 2010 | 법학

한국의 법률직 TV 드라마에 나타난 법의식과 법률가의 이미지 - <애드버킷>에서 <검사 프린세스>까지

Legal Consciousness and Images of Lawyers as Reflected in Korean Legal TV Dramas - From to

서울대학교 법학 | 51 | 3 | 2010 | 법학

문화적 현상으로의 대중문화와 공간디자인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of Popular Culture and Space Design by Cultural Phenomen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

Revisit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What’s Right and What’s Wrong with It?

미술교육에서의 시각문화를 재방문하며: 그것이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Revisit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What’s Right and What’s Wrong with It?

미술교육에서의 시각문화를 재방문하며: 그것이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셰익스피어 대중문화와 한국의 실제: 2000년대 연극산업을 중심으로

Shakespeare and Popular Culture in Korea: Theatre Industry in the New Millennium

중세근세영문학 | 22 | 1 | 2012 | 영어와문학

1960년대 워홀의 대중문화 전유와 반미학 전략

Warhol's strategy for appropriation and anti-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in 1960's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토착화

Between globality and locality:Emerging Korean hip-hop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English Language Learner's Literacy and Idnetiy Work in Online Spaces

현대영어교육 | 13 | 2 | 2012 | 영어교육

러시아 대중문화 속 고려인 연구(1960-1990) -작가주의 노래(율리 김)와 러시아 록(빅토르 최)

A Study of Korean Diaspora in Russian Popular Culture (1960- 1990)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 대중문화 속 고려인 연구(1960-1990) -작가주의 노래(율리 김)와 러시아 록(빅토르 최)

A Study of Korean Diaspora in Russian Popular Culture (1960- 1990)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미디어 문화 환경이 유아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 -텔레비전 미디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media culture environment on the art education of children -focused on the TV Media-

조형미디어학 | 15 | 3 | 2012 | 기타미술

대중문화 연예상품에서 문화적, 사회적 자본의 동원 메커니즘: 아이돌 스타의 경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대중문화 연예상품에서 문화적, 사회적 자본의 동원 메커니즘: 아이돌 스타의 경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대중문화와 복음의 연관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 : 인간성의 실현을 위하여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the Gospel : for a purpose to realize the hum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

한국어교육에서 대중문화의 위상

The status of Mass-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드라마 <쾌걸 춘향>을 중심으로 -

Modern Change of Chun-hyang viewed in Popular Culture Code - Focused on A Soap Opera, Sassy Girl Chun-hyang -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드라마 <쾌걸 춘향>을 중심으로 -

Modern Change of Chun-hyang viewed in Popular Culture Code - Focused on A Soap Opera, Sassy Girl Chun-hyang -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사회주의 문학의 다층성

The Diverse Levels of Korean Socialist Literature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