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문화

연구분야 : A1104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교육
B081500 사회과학 > 사회학 > 문화/종교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474

한자 : 漢字文化
영어 : Chinese character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언어 문화 [ 言語文化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지식지형도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어휘 교육 () [ 語彙敎育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중원문화 (중국) [ 中原文化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언어 사용 [ 言語使用 ]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재발견

A Hermeneu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fucian Theology: Based on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 Chu Shihi)

신학과철학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재발견

A Hermeneu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fucian Theology: Based on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 Chu Shihi)

신학과철학 |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논술문 형성 시기에 관한 연구 - 고차적 사고의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Formation Period for Writing an Essay : From the Perspective of Higher-Order Thinking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朴泰淳의 唐詩 和韻詩 硏究 ― 杜甫와 李商隱 詩에 대한 和韻詩를 중심으로

The verse in response to Tang dynasty poetry by Park Taeso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a verse in response to Dufu(杜甫) and Lishangyin(李商隱)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어와문학

金海 燕子樓 原韻詩에 대하여

About Gimhae Yenja palace(燕子樓) Wonun(原韻)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海 燕子樓 原韻詩에 대하여

About Gimhae Yenja palace(燕子樓) Wonun(原韻)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押韻의 미학으로 본 次韻詩의 특성에 대한 연구 ― 元白과 蘇軾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 72 | 2012 | 중국어와문학

次退溪詩를 통해 본 퇴계시의 계승 양상과 의미

Its succession aspects and meaning look through post-Toegye' poetry

동양문화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次退溪詩를 통해 본 퇴계시의 계승 양상과 의미

Its succession aspects and meaning look through post-Toegye' poetry

동양문화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해양공간과 네트워크: 독일한자Deutsche Hanse의 교류공간을 중심으로

Marine Space and Network: Focused on the Hanseatic Leaugue as a Network Space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에 대하여

A stud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2009:Focused on Speech Function and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지식실천 :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A Study on Formation of Knowledge on Chinese Writing Culture :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Tradition

漢字漢文敎育 | 1 | 28 | 2012 | 한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