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충동

연구분야 : E150200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5714

한자 : --衝動
독일어 : Todestrieb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1 감정 감정

충동 [ 衝動 ]

아리랑의 정신분석-상실에 맞서는 애도, 우울증, 열락(jouissance)의 언어

Psychoanalysis of Arirang: Resisting Loss, the Language of Mourning, Melancholy, and Jouissanc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이장희 시에 나타난 ‘우울’의 미학과 모성적 정치성

Aesthetics of ‘Melancholy’ and Maternal Politics in Lee, Jang–Hee’s poem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잘자요, 엄마』에서 보여 지는 구원적 의미의 죽음 충동

Death Drive of Saving Significance in night, Mother’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잘자요, 엄마』에서 보여 지는 구원적 의미의 죽음 충동

Death Drive of Saving Significance in night, Mother’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정신분석학에 나타난 이미지의 구조와 의미-표상의 대표자, 이미지, 스크린, S1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Image in Psychoanalysis -Focus on Vorstellungsrepräsentanz, image, screen, S1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정신분석학에 나타난 이미지의 구조와 의미-표상의 대표자, 이미지, 스크린, S1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Image in Psychoanalysis -Focus on Vorstellungsrepräsentanz, image, screen, S1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담론과 문화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 전쟁과 섹슈얼리티 표상 문제를 중심으로 ―

East Asian cultural discourse and possibilities of cultural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war and sexuality

아시아문화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담론과 문화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 전쟁과 섹슈얼리티 표상 문제를 중심으로 ―

East Asian cultural discourse and possibilities of cultural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war and sexuality

아시아문화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미학과 정신분석학 : 라캉의 순수욕망 및 근본환상 이론을 중심으로

Aesthetics and Psychoanalysis : Focusing on Lacan's Concepts of Pure Desire and Fundamental Fantasy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윤동주 시에 나타난 향암성(向暗性)의 상상력

The Imagination of Scototropism in Dong Joo Yoon's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죽음의 나르시시즘: 라깡의 『가족 콤플렉스』에 나타난 죽음의 인자

Le Narcissime de mort : les facteurs de mort dans Les Complexes familiaux de Jacques Lacan

현대정신분석 | 13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