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61

STNet ID : 1001127

한자 : 廣開土大王
재위기간 : 391-412
동의어(UF) : 광개토왕(廣開土王)
동의어(UF) : 영락대왕(永樂大王)
동의어(UF) : 국강상 광개토경 평안 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동의어(UF) : 호태왕(好太王)
기타 : King Gwanggaeto

y01-01 실존인물

시대

고구려 시대 (高句麗)

출생지

고구려 (高句麗)

지위/신분

왕(王) (王)

생몰년_t

375-413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락 [ 永樂 ]

UF (비우선어)

 

담덕 () [ 談德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광개토대왕릉비 () [ 廣開土大王陵碑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아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수왕 (412-491) [ 長壽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아버지

 

고국양왕 (384-391) [ 故國壤王 ]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Invading Baekje by King Gwanggaeto of Goguryo -Focusing on between 392 A.D.~394 A.D. -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광개토왕의 왕릉관리

Maintenanc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shown in the tombston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고구려 광개토왕 시기 慕容鮮卑와의 관계 및 문화교류

高句麗廣開土王時期和慕容鮮卑的關係和文化交流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廣開土王의 遼西地方 進出에 대한 고찰

Political Climate of the Liaoxi(遼西) Region and the Western Advance of Kogury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후연 정벌

Conquest of King Gwanggaeto over Huyeon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광개토대왕대 고구려의 군사발전과 성장

Military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ato

군사 | 77 | 2010 | 역사학

광개토대왕대 고구려의 군사발전과 성장

Military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ato

군사 | | 7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