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62

STNet ID : 1001128

한자 : 長壽王
재위기간 : 412-491
기타 : King Jangsu

y01-01 실존인물

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국적

고구려 (高句麗)

지위/신분

왕(王) (王)

생몰년_t

394-491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중원고구려비 () [ 中原高句麗碑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한성백제 () [ 漢城百濟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문자명왕 (492-519; 491-519) [ 文咨明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아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광개토대왕 (391-412) [ 廣開土大王 ]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광개토왕의 왕릉관리

Maintenanc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shown in the tombston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5~6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Ⅱ)-

Goguryeo's Southward Advance in the 5~6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Trend of Han River Basin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5~6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Ⅱ)-

Goguryeo's Southward Advance in the 5~6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Trend of Han River Basin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