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표장

연구분야 : B130409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지적재산권법

클래스 : 표준/규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675

한자 : 技術的 標章
영어 : descriptive mark

e02-04 표준/규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우리은행 [ --銀行 ]

hasIssue (이슈/주제)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식별력 [ 識別力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상표 [ 商標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상표권 [ 商標權 ]

상표권과 상호권의 합목적적 양립을 위한 상표법 개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rade Names and Trademark’s right under the Korean Trademark Act

안암법학 | 39 | 2012 | 법학일반

상표권의 범위와 한계-헌법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Extent and Limit of the Right of Trademarks with emphasis on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지식재산연구 | 7 | 1 | 2012 | 지적재산권법

상표법상 사용에 의한 식별력 취득시점 및 증명방법에 관한 고찰

Study Regarding Critical Measure of Time for Acquisition of Distinctiveness by Use and the Proof of Its Establishment under Trademark Law

서울대학교 법학 | 53 | 3 | 2012 | 법학

상표법 제51조 제1항에서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Usual Way to Use' in the Korea Trademark Law Article 51.1.

지식재산연구 | 6 | 2 | 2011 | 지적재산권법

상품의 입체적 형상만으로 된 상표의 등록 요건 ―일본판례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Requirements for Trademark Registration as to the mark consists solely of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oods ―Focusing on comparative study with judicial precedents in Japan―

창작과 권리 | 64 | 2011 | 지적재산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