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주

연구분야 :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007

한자 : 結婚移住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결혼 이민자 여성 () [ 結婚移民者女性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결혼 이주자 () [ 結婚移住者 ]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의미 없지만 유효한 법

경제와 사회 | 86 | 2010 | 사회학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의미 없지만 유효한 법

경제와 사회 | | 86 | 2010 | 사회학

‘국민의 배우자’를 벗어난 여성들: 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의 결혼과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

Women Escaping from Being “a Foreign Spouse of a Korean National”: A Case Study of Divorces of Han-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한국문화인류학 | 44 | 2 | 2011 | 역사학

필리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행태에 관한 연구

Intermarriage 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focused on Filipina Wives in South Korea

동남아시아연구 | 20 | 2 | 2010 | 지역학

필리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행태에 관한 연구

Intermarriage 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focused on Filipina Wives in South Korea

동남아시아연구 | 20 | 2 | 2010 | 지역학

동반ㆍ중도입국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 Students

교육문화연구 | 17 | 2 | 2011 | 기타교육학

이주로 형성된 이중문화 환경을 자원화하는 방안 연구: 한필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ing the Bicultural Atmosphere Formed by International Migration: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rmed between Koreans and Filipinos

선교와신학 | 29 | 2012 | 기독교신학

결혼이주 어머니와 선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 비교-양육신념과 양육지식의 매개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Parenting Behaviors between Marriage-immigrant Mothers and Native-born Mothers-Mediating Roles of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Knowledge-

한국아동복지학 | 38 | 2012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