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락당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211

한자 : 獨樂堂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주택 (住宅)

제작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소재지

경주 (慶州)

소장처(자)

이해철

관리자(처)

이해철

지정호수_t

보물 제413호

지정일자_t

1964년 11월 14일

주소_t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00-1

제작(설립)년도_t

1516년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누정시 [ 樓亭詩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The World and ‘Eukyeong(意境)’ of Toegye’s poem ‘Imgeosipohyoung(林居十五詠)’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The World and ‘Eukyeong(意境)’ of Toegye’s poem ‘Imgeosipohyoung(林居十五詠)’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