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

연구분야 : A02031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일본근대사

클래스 : 개혁(개편/재편/혁신)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526

STNet ID : 1001188

한자 : 明治維新
영어 : Meiji Restoration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명치유신 () [ 明治維新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유신 [ 維新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문명 개화론 [ 文明開化論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막번체제 [ 幕藩體制 ]

근대 일본의 “전쟁(戰爭)”개념과 그 전개: 전쟁관의 변화와 대응 정책론의 전개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war" in the modern Japan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근대 ‘사회과학’의 동아시아 수용과 메이지 일본 ‘사회과학’의 특질 ― 블룬칠리 국가학 수용을 중심으로 ―

East Asia's Acceptance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Moder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ocial Science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ception of Bluntschli’s Political Thought ―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일본 근대 저작권 사상이 한국 저작권 법제에 미친 영향 : 출판권을 중심으로

Impact of Modern Japanese Copyright Thought on the Korean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 the case of the right of publication

한국출판학연구 | 37 | 1 | 2011 | 신문방송학

일본근현대사 연구동향

A Survey on Research in Modern Japanese Histo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근대일본의 제정일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

The theocratic policy in modern Japan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t community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18세기후반-막말기(幕末期) 일본인의 ‘아시아’‘동양’개념의 형성과 변용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concepts of 'asia'and 'toyo(東洋)' in Japan in the late 18th century to bakumatsu(幕末)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18세기후반-막말기(幕末期) 일본인의 ‘아시아’‘동양’개념의 형성과 변용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concepts of 'asia'and 'toyo(東洋)' in Japan in the late 18th century to bakumatsu(幕末)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근대 일본의 출판통제정책 연구 : 메이지 시대를 중심으로

Modern Japan's Publication Control Policies : Based on the Age of Meiji Restoration

한국출판학연구 | 38 | 1 | 2012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