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당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288

한자 : 南堂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도당 [ 都堂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화백 회의 [ 和白會議 ]

조선후기 미발논의의 전개양상과 수양론의 제반유형

朝鲜后期未发论的展开样态与修养论的诸多类型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陶唐山과 그 성격 -祭儀를 중심으로-

Dodansan(陶唐山) and its characteristic -focused on rites ceremony-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陶唐山과 그 성격 -祭儀를 중심으로-

Dodansan(陶唐山) and its characteristic -focused on rites ceremony-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남당(南塘)의 승반론(乘伴論)과 수설(竪說)-외암의 ‘횡설’과 비교하여-

Supervenience Theory in Namdang’s Understanding of Human Dispositions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南塘 韓元震의 說理詩 硏究

A Study on Seol-li-si by Namdang(南塘), Han Wonjin(韓元震)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南塘 韓元震의 說理詩 硏究

A Study on Seol-li-si by Namdang(南塘), Han Wonjin(韓元震)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