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분화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555

한자 : 細分化
영어 : segmentation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고객 세분화 [ 顧客細分化 ]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시장 세분화 [ 市場細分化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노동 시장 분절 [ 勞動市場分節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현대 과학 () [ 現代科學 ]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신기성 추구 정도에 따른 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gmentation of Travel Fair Visitors Based on Novelty-Seeking Travel Preferences

마케팅논집(Journal of Marketing Studies) | 19 | 4 | 2011 | 사회과학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OF INTERNAL CUSTOMERS IN SUPER DELUXE HOTELS

특급호텔 내부고객 세분화에 따른 정서노동 수행에 관한연구

관광연구 | 25 | 1 | 2010 | 관광학일반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OF INTERNAL CUSTOMERS IN SUPER DELUXE HOTELS

특급호텔 내부고객 세분화에 따른 정서노동 수행에 관한연구

관광연구 | 25 | 1 | 2010 | 관광학일반

쇼핑 지역과 만족에 의한 쇼핑 선택속성 시장세분화 연구

Segmentation of Shopping Choice Attribute by Shopping Site and Satisfaction

관광레저연구 | 24 | 4 | 2012 | 관광학

CHAID 의사결정트리 방법에 의한 산업전시회 시장세분화 : HOMDEX 2008' 참관객을 중심으로

Segmentation of Exhibition Visitors by Using CHAID Tree-Based Analysis: A Case of HOMDEX 2008' Attendees

관광레저연구 | 23 | 8 | 2011 | 관광학

Segmentation by Visitors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Goindol (Dolmen) Festival of Ganghwa Island

관광레저연구 | 22 | 4 | 2010 | 관광학

Segmentation by Visitors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Goindol (Dolmen) Festival of Ganghwa Island

관광레저연구 | 22 | 4 | 2010 | 관광학

트레킹(trekking)시장세분화를 통한 상품개발 방안: 여성 트레킹 참여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eveloping Product through Trekking Market Segmentation : Based on Female Trekkers

관광레저연구 | 22 | 1 | 2010 | 관광학

트레킹(trekking)시장세분화를 통한 상품개발 방안: 여성 트레킹 참여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eveloping Product through Trekking Market Segmentation : Based on Female Trekkers

관광레저연구 | 22 | 1 | 2010 | 관광학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Gifted Students'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Science Classes

영재교육연구 | 21 | 2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