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20세기 초 한국 불교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비판
Buddhist Attitudes toward Christian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한국 불교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비판
Buddhist Attitudes toward Christian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독교와 서양 과학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재검토
Cheong Yagyong’s Attitude towards Christianity and Western Science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근대적 자연 체험과 교양 담론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목신화에 담긴 역사인식: A. S. 바이어트의 『소유』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History in the Vegetation Myth: A. S. Byatt's Possession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초목신화에 담긴 역사인식: A. S. 바이어트의 『소유』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History in the Vegetation Myth: A. S. Byatt's Possession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칸트 종교철학의 현대적 의의
Science and Religion - Critique of ‘Consilience’ and the Way to Moral Religion
철학∙사상∙문화 |
14 |
2012 |
기타인문학
이상(李箱), ‘제거하기’의 수사학과 ‘죄를 묻는 형식’으로서의 글쓰기: 기표의 주체의 차원에서 ‘이상’ 바라보기
The rhetoric of 'removing' and the writing as a form of inquiring a guilt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63 |
2010 |
기타인문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
63 |
2010 |
기타인문학
김기림 시론 연구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Kim, Ki-rim's Poetics ―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Organicism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일본어 글쓰기-정지용의 일본어 시작(詩作)을 중심으로-
The Korean Modernism Literature and Japanese Writing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Althusser et Rancière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Althusser et Rancière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理氣哲學의 세계관이 현대인의 철학으로서 갖는 特長(I) - 인간학과 자연학의 통합체계 -
作爲現代人哲學的理氣哲學世界觀的特長(Ⅰ) - 人間學和自然學的結合體系 -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마리안 무어의 시적 기교와 도덕성
The Poetic Techniques and Morality of Marianne Moore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마리안 무어의 시적 기교와 도덕성
The Poetic Techniques and Morality of Marianne Moore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박용철 시론 연구 ― ‘과학’이란 균열체를 중심으로
A Study of Park, Yong–cheol' poetics ― Focused on remider of 'science'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소설의 도시 체험과 환등상적 양상
Urban Experience of Kim Yu-jung’s Novels and a Form of Phantasmagoria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운 신” 과학에 올라탄 제국과 식민의 동상이몽 -퀴리부인 전기의 소설화를 중심으로-
Science as a “New God” which Both a Colony and a Colonial Power Dreamt of; Madame Curie’s Biography in Colonial Korea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교육과정 논의에서 과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와 한계
An inquiry on the role of science in curriculum discussion : Its meaning and limitations
교육과정연구 |
28 |
2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 논의에서 과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와 한계
An inquiry on the role of science in curriculum discussion : Its meaning and limitations
교육과정연구 |
28 |
2 |
2010 |
교육학
진화론과 생태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 의학과 몸의 상호관계성 연구: 『지킬 박사와 하이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과 『모로우 박사의 섬』을 중심으로
근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진화론과 생태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 의학과 몸의 상호관계성 연구: 『지킬 박사와 하이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과 『모로우 박사의 섬』을 중심으로
근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카프 초기 문예론의 전개와 과학적 이상주의의 영향 : 회월 박영희의 사상적 전회 과정과 그 의미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literary criticism in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and the influence of the scientific idealism : the ideological rotation of Park Younghee and that meaning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연구・학습윤리 규범 연구개발
Study and development on ethics code of research-learning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묵경} 중의 물체 운동에 관한 이론 고찰
The Thought of the theory about the laws of motion in {Mojing}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묵경} 중의 물체 운동에 관한 이론 고찰
The Thought of the theory about the laws of motion in {Mojing}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格物窮理에서 ‘科學’으로: 晩明 西學受容 이후 科學 槪念의 變遷
From Gewuqiongli to 'Kexue'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니체와 야누스적 근대
Nietzsche and the Janus-Faced Modernity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사유, 해석 그리고 번역 - 해석학적 과학 수립을 위한 시론(試論) -
Denken, Verstehen und Übersetzen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수학 · 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The Longitudin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 and Scientific Subject
과학교육연구지 |
34 |
1 |
2010 |
과학교육학
수학 · 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The Longitudin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 and Scientific Subject
과학교육연구지 |
34 |
1 |
2010 |
과학교육학
듀이 실험학교의 도덕교육적 함의: 과학과 도덕
An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Laboratory School: Science and Morality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이브 본느프와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예술과 과학의 관계 - 17세기의 예술작품들을 중심으로
La relation de l'art et de la science dans les oeuvres d'Yves Bonnefoy - Sur les oeuvres d'art du 17e siècl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of Brain Dominance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과학교육연구지 |
36 |
1 |
2012 |
과학교육학
저소득층 학생, 학부모, 저소득층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과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Student, Teacher, and Parent Perceptions of Mathematics and Science Programs for Low SES Students: Focus Group Discussion
한국교육 |
37 |
2 |
2010 |
교육학
저소득층 학생, 학부모, 저소득층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과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Student, Teacher, and Parent Perceptions of Mathematics and Science Programs for Low SES Students: Focus Group Discussion
한국교육 |
37 |
2 |
2010 |
교육학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
Re-understanding of Technoscience and Nature through Actor-Network Theory
대한지리학회지 |
45 |
4 |
2010 |
지리학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
Re-understanding of Technoscience and Nature through Actor-Network Theory
대한지리학회지 |
45 |
4 |
2010 |
지리학
현대 중국의 유학연구 동향과 전망 - 유교부흥운동과 문화보수주의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Tendency and Prospect of Modern Chinese Confucianism: Centered on Confucianism Renaissance and Cultural Conservatism
사회사상과 문화 |
25 |
2012 |
사회학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의 과학, 축복인가,재앙인가 -- 디스토피아 과학 --
Science in Huxley’s Brave New World, Is it a Blessing or a Disaster? -- Dystopia Science --
인문과학연구 |
14 |
2010 |
기타인문학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의 과학, 축복인가,재앙인가 -- 디스토피아 과학 --
Science in Huxley’s Brave New World, Is it a Blessing or a Disaster? -- Dystopia Science --
인문과학연구 |
|
14 |
2010 |
기타인문학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Gifted Students'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Science Classes
영재교육연구 |
21 |
2 |
2011 |
교육학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어린이 체험전시 프로그램 내용 분석: ‘명화 속 과학 체험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ity Exhibition Programs for Creativity in "the Science Experience in the Arts"
사고개발 |
8 |
1 |
2012 |
교육심리학
중국 현대 학술 형성기의 ‘科學’에 대한 인식 및 수용에 관한 연구- 胡適의 학술적 실천의 의미와 관련하여
關于中國現代學術形成期的對于科學的認識及受容的硏究-以胡適的學術的實踐爲中心
외국학연구 |
15 |
2011 |
기타인문학
靈·氣·質론과 현대물리학에서 본 존재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existence in the theory of Ying·Qi·Zhi and the viewpoint of modern physic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9 |
2011 |
원불교학
1920年代 中國에서 ‘玄學’과 ‘科學’ 論爭
Dispute of Xuanxue(玄學) and Science(科學) in 1920's China
중국사연구 |
78 |
2012 |
동양사
깔뱅의 ‘과학’(science) 이해
Calvin’s Understanding of Sci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26 |
2010 |
조직신학
깔뱅의 ‘과학’(science) 이해
Calvin’s Understanding of Sci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
26 |
2010 |
조직신학
The Relationship of Cognitive Attributes of Mathematics and Science
수학과 과학에서의 인지 능력 간의 관계
교육과정평가연구 |
15 |
2 |
2012 |
교육학
중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의 국어학적 오류 분석
Korean linguistic Errors on Written Tests of Science in Middle School 7th Grade
교육문화연구 |
17 |
2 |
2011 |
기타교육학
과학기술시대에 있어 응용윤리의 교육적 활용전망
Educational Practical Use Prospect of Applied Ethics in the Age of Science- Technology
철학연구 |
113 |
2010 |
철학
과학기술시대에 있어 응용윤리의 교육적 활용전망
Educational Practical Use Prospect of Applied Ethics in the Age of Science- Technology
철학연구 |
113 |
|
2010 |
철학
모던 미국사회학과 과학주의
Modern American Sociology and Scientism
사회와 이론 |
16 |
2010 |
기타사회학
모던 미국사회학과 과학주의
Modern American Sociology and Scientism
사회와 이론 |
|
16 |
2010 |
기타사회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Foundation of New Ethics in Technology Age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Fascination and Aversion: Science in Tolstoy’s Work
슬라브硏究 |
27 |
4 |
2011 |
지역학
과학선진국의 연구윤리 가이드라인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미국 · 영국 · 독일 ·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uidelines of Science Ethics - Cases of United States, Great Britain, Germany, and Denmark -
담론201 |
13 |
2 |
2010 |
사회학
과학선진국의 연구윤리 가이드라인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미국 · 영국 · 독일 ·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uidelines of Science Ethics - Cases of United States, Great Britain, Germany, and Denmark -
담론201 |
13 |
2 |
2010 |
사회학
지식흐름과 기술혁신에 있어서 특허정보의 역할
The Role of Patent Information in Knowledge Flows and Innovations
과학기술법연구 |
16 |
2 |
2011 |
기타법학
Science with a Human Touch: An Urgent Need to Augment Life and Culture
생명연구 |
19 |
2011 |
서양철학
자본주의와 과학기술
Capitalism and Scientific Technology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자본주의와 과학기술
Capitalism and Scientific Technology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The era of the war on science, ‘a woman in the real guard’ and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民國시대 中國科學社의 과학운동의 성격 ― 『科學』잡지를 중심으로 ―
民国时期中国科学社科学运动的'科学的'性格--以《科学》杂志为中心
동양사학연구 |
117 |
2011 |
역사학
1920년대 ‘과학․현학’ 논쟁과 ‘救亡’ 의식
“Science versus Metaphysics” in the Debate of 1920s and Consciousness of “National Salvation”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과학, 수학영재들의 가정환경과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Social Competence of Gifted Adolescents
교육심리연구 |
26 |
1 |
2012 |
교육학
Is Science Universal?
과학은 보편적인가?
근대 철학 |
6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