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B0200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308

STNet ID : 1001244

한자 : 大韓民國臨時政府
영어 :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영어 :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영어 :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한자 : 大韓民國臨時政府
기타 : 임시정부
영어 :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영어 :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소재지1

상하이 (上海)

구분

임시 정부 (臨時政府)

설립목적_t

내정·군사·외교·교육·문화 등의 광복정책

설립일자_t

1919년 4월 13일

해산일자_t

1945년 8월 15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성임시정부 () [ 漢城臨時政府 ]

UF (비우선어)

 

 

한국 임시 정부 [ 韓國臨時政府 ]

UF (비우선어)

 

 

상해 임시 정부 [ 上海臨時政府 ]

UF (비우선어)

 

 

상하이 임시 정부 [ 上海臨時政府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무원 (한국) [ 國務院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용만 (1881-1928) [ 朴容萬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호 [ 金乎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창호 () [ 安昌浩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정묵 [ 金正默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여운형 (1886-1947) [ 呂運亨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동휘 (1873-1935) [ 李東輝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임 [ 柳林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창숙 () [ 金昌淑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승만 () [ 李承晩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가진 () [ 金嘉鎭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국민대표회의 [ 國民代表會議 ]

isAffectedBy (영향요인)

설립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신한청년당 [ 新韓靑年黨 ]

isAffectedBy (영향요인)

지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노인단 [ 老人團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상하이 () [ 上海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독립운동 (한국) [ 獨立運動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독립신문 () [ 獨立新聞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은식 () [ 朴殷植 ]

RT (관련어)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중경 임시정부 () [ 重慶臨時政府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한인사회당 [ 韓人社會黨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연통제 () [ 聯通制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상해대한인거류민단 [ 上海大韓人居留民團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대동단결선언 [ 大同團結宣言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대한민국임시헌법 () [ 大韓民國臨時憲法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항일 운동 () [ 抗日運動 ]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The life of Kim Seong Suk and his independence activities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일제의 실증주의법에 저항한 우리 민중의 자연법 사상과 그 실천-자연법 사상에 기초한 우리 민중의 저항권을 중심으로-

Thoughts of Natural Law of and Resistances by Korean Peoples against Japanese Colonial Occupational Controls by Positivistic Bad Acts during Colonial Period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일제침략기 중국사회의 ‘한국’ 인식 - 한국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Chinese Awareness of Korea in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 위임통치 청원논쟁

Disputes over the petition for mandate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해공 신익희와 대한민국

Shin Ik Hi and Repubulic of Korea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해공 신익희와 대한민국

Shin Ik Hi and Repubulic of Korea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Historical memory and betrayal of the 3.1 Movement, and ideological politics about it’s success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민족운동지도론

Ahn, Chang Ho(Dosan)’s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 Leadership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제2차 세계대전 후 폴란드와 한국에서의 정부 수립과정 비교

A Comparison of Government Establishment in Poland and Korea after World War II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제2차 세계대전 후 폴란드와 한국에서의 정부 수립과정 비교

A Comparison of Government Establishment in Poland and Korea after World War II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미주 한인의 국치일 인식과 그 변화

Korean Americans' View of National Humiliation Day and Its Chang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of Korea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3‧1운동 직후 ≪自由晨鍾報≫ 간행을 통해 본 국내 독립운동계의 동향

The Trend of the Circle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Righ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een through the Publication of “Jayoosinjongbo”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3‧1운동 직후 ≪自由晨鍾報≫ 간행을 통해 본 국내 독립운동계의 동향

The Trend of the Circle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Righ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een through the Publication of “Jayoosinjongbo”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상인독립군’ 金時文의 上海 생활사

Life History of Kim Si Moon, the guard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상인독립군’ 金時文의 上海 생활사

Life History of Kim Si Moon, the guard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송진우・한국민주당의 과도정부 구상과 대한민국임시정부지지론

The Interim Government Planned by Song Jin-Woo and the Korea Democratic Party and the Support Theory for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8ㆍ15 당시 여운형의 과도정부 구상과 여운형ㆍ엔도 회담

The Interim Government Plan of Lyuh Woon-Hyung and the Talks between Lyuh and Endo at the Time of Korean Liber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중일전쟁시기 蔣介石ㆍ國民政府의 對韓政策

中日戰爭時期蔣介石ㆍ國民政府的對韓政策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중일전쟁시기 蔣介石ㆍ國民政府의 對韓政策

中日戰爭時期蔣介石ㆍ國民政府的對韓政策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러시아혁명 전후 시기 계봉우(桂奉瑀)의 항일민족운동, 1919~1922 : 기독교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The Anti-Japanese Activities of Gye Bong-U(1880~1959) before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 from Christian Nationalist to Socialist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중국 언론에 비친 3ㆍ1운동의 전개와 영향 -長沙 『大公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Chinese media - Focused on the articles of Changsha(長沙) 『DaGong bao(大公報)』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중국 언론에 비친 3ㆍ1운동의 전개와 영향 -長沙 『大公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Chinese media - Focused on the articles of Changsha(長沙) 『DaGong bao(大公報)』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辛亥革命과 한국 독립운동

辛亥革命與韓國獨立運動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제1장 석오 이동녕의 애국사상과 활동

Patriotic Thought and Activities of Sukoh Lee Dong-Nyeong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1장 석오 이동녕의 애국사상과 활동

Patriotic Thought and Activities of Sukoh Lee Dong-Nyeong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議政활동’ 연구 -제5차 개헌 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Parliamentary political activities' in the Korean interim parliament - focused on the 5th debate on Constitutional Amendment.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晴簑 曺成煥(1875~1948)의 抗日獨立運動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s by Cho Seong-hwan(1875∼1948)

한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0 | 역사학

晴簑 曺成煥(1875~1948)의 抗日獨立運動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s by Cho Seong-hwan(1875∼1948)

한국근현대사연구 | | 53 | 2010 | 역사학

진관사 태극기의 형태와 그 역사적 의의

The shape of Taegukgi (the national flag of Korea) discovered in Jinkwansa temple and its historical meaning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한 길 속에서 일관되게 상대를 아우르려 한 令洲 金尙德

A syudy of the Kim Sang-deok of ‘soft outside and yet firm inside(外柔內剛)’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한 길 속에서 일관되게 상대를 아우르려 한 令洲 金尙德

A syudy of the Kim Sang-deok of ‘soft outside and yet firm inside(外柔內剛)’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윤기섭의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참여와 활동

Yoon, Gi-seob and hi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Assembl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민족혁명론

Cho So Ang’s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and His Theory of National Revolution

한국인물사연구 | 16 | 2011 | 역사학

독립군과 한국광복군의 항일무장투쟁

The Independence Army And The Korean National Army’s Military Fighting Against Japan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독립군과 한국광복군의 항일무장투쟁

The Independence Army And The Korean National Army’s Military Fighting Against Japan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카이로會談에서의 한국문제에 대한 중화민국정부의 태도

The attitude of Republic of China toward Korean issues in Cairo Conferences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카이로會談에서의 한국문제에 대한 중화민국정부의 태도

The attitude of Republic of China toward Korean issues in Cairo Conferences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이념 사상가로서 김성숙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Kim-Sung-Suk(金星淑) As A Great Thinker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중한문화협회의 성립과 활동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China-Korea Culture Associa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중한문화협회의 성립과 활동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China-Korea Culture Associa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제2차 세계대전기 박건웅의 임시정부 활동과 시대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일제시기 상해 仁成學校의 설립과 운영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hanghai Inseong School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Era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심산 김창숙의 사상적 변화와 민족운동

Simsan Kim, Chang-sook’s ideological change and his national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一友 具榮泌(1891~1926)의 生涯와 獨立運動

The Life of Goo, Young-Pil and His rol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청천과 한국광복군

Yi Cheong-Cheon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한국근현대사연구 | 56 | 2011 | 역사학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57 | 2010 | 법학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 57 | 2010 | 법학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Soviet Russia’s Evalu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의 정치적 프리메이슨단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and the Russian Political Freemasonry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임시정부가 꿈꾼 교육·문화 정책과 그 굴절

The Provisional Government’s Vision about Education and Culture, and How It Has Fade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8 | 2010 | 사회학

임시정부가 꿈꾼 교육·문화 정책과 그 굴절

The Provisional Government’s Vision about Education and Culture, and How It Has Fade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8 | 2010 | 사회학

남파 박찬익의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Nam Pa Park Chan-Ik’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남파 박찬익의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Nam Pa Park Chan-Ik’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삼균주의ㆍ「대한민국 건국강령」과 임시정부 절대옹호론

三均主義ㆍ「大韓民國建國綱領」と臨時政府絶對擁護論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안재홍의 ‘己未運動’과 임정법통성의 역사의식

Ahn Jae Hong's 'Gimi Movement' and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bout the Legitimacy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광복 이후 상해 仁成學校의 재개교와 변천

Reopening and Changes of Inseong School in Shanghai after the Libera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0 | 역사학

광복 이후 상해 仁成學校의 재개교와 변천

Reopening and Changes of Inseong School in Shanghai after the Libera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 54 | 2010 | 역사학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기사 분석 -『뉴욕 타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he American press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New York Times as the center-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국가 속의 국가(Imperium in imperio): 뜻으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

Imperium in imperio

철학연구 | 88 | 2010 | 철학

국가 속의 국가(Imperium in imperio): 뜻으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

Imperium in imperio

철학연구 | | 88 | 2010 | 철학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단국대학교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Dankook University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단국대학교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Dankook University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해공 신익희의 망명과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Haegong Shin Ik Hee's Devotion t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1920년대 국내언론에 보도된 임시정부 관련 기사의 분석과 독립운동의 경향 -국민대표회의와 재판관련 및 국내에서의 활동기사를 중심으로-

Korean domestic Press and anti-Japanese movement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s -In the case of the records of a trial and press in internal of National Representative Convention-

숭실사학 | 28 | 2012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