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B081200 사회과학 > 사회학 > 정치사회학/사회운동론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580

STNet ID : 1001559

한자 : 安昌浩
기타 : Ahn Chang-ho
한자 : An Chang-ho
동의어(UF) :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도산 () [島山]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대한민국임시정부 () [ 大韓民國臨時政府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13도의군 [ 十三道義軍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독립협회 () [ 獨立協會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국민대표회의 [ 國民代表會議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봉빈 [ 吳鳳彬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동휘 (1873-1935) [ 李東輝 ]

RT (관련어)

 

 

이토히로부미 암살

RT (관련어)

관련 인물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사회주의관 [ 社會主義觀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평양 대성학교

hasFounder (설립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흥사단 [ 興士團 ]

hasFounder (설립자)

 

 

청년 학우회

hasFounder (설립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신민회 () [ 新民會 ]

produces (대상 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민회 [ 國民會 ]

「105인사건」 피의자의 사건 이후 행적과 활동-국외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한 19인을 중심으로-

The conduct and activity of the figures concerned to ‘the Korean conspiracy case’ after the fact -With 19 figures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as the central one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A Trace of Korean Thought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Discourse on Nationalism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중근 가문의 독립운동 기반과 성격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Family of Joong Geun Ahn

교회사연구 | 35 | 2010 | 교회사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 위임통치 청원논쟁

Disputes over the petition for mandate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미주지역 민족운동과 洪焉

Earn Hong'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meric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근현대사연구 | 60 | 2012 | 역사학

대한인국민회 업랜드·클레몬트지방회 사례를 통해 본 1910년대 북미 한인사회의 내면

The Real Picture of Korean Community in North America during the 1910s i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Upland & Claremont

한국근현대사연구 | 58 | 2011 | 역사학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민족운동지도론

Ahn, Chang Ho(Dosan)’s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 Leadership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Nation-Building Pla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among Liberal Intellectual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under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도산 안창호의 피체와 석방운동

On the Various Campaigns and their Rationale for An, Chang-ho's Release from Japanese Police Detention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도산 안창호의 구국투쟁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ature and Meaning of the Dosan Ahn Chanho's Struggle for Korean Independence from Imperialist Japan

민족사상 | 5 | 3 | 2011 | 한국정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