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사화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74

한자 : 己卯士禍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사화 () [ 士禍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구 (조선) [ 金絿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광한 (1484-1555) [ 申光漢 ]

affects (영향)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림 () [ 士林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행 (조선 문신) [ 李荇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인숙 [ 柳仁淑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기묘유적 [ 己卯遺蹟 ]

resultsIn (산물/결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현량과 [ 賢良科 ]

RT (관련어)

 

x02-03 시점 시점

기묘년 [ 己卯年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정국공신 [ 靖國功臣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곤 () [ 南袞 ]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The banished life of Ja-am Kim Gu & Aspect of "Joy within the Sadness"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The banished life of Ja-am Kim Gu & Aspect of "Joy within the Sadness"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Sosoewon’ in Korea and the Aesthetic of Nature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Political Akrasia and Grief of Confucian Dynasty During the Gimyosahwa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Political Akrasia and Grief of Confucian Dynasty During the Gimyosahwa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趙光祖의 社會改革에 관한 一考察

A Study on Cho KwangJo's Political Activities and Social Reforms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기묘사림의 예술감성과 호남화단

Artistic Sensitivity of Gimyo Sarim and a Character of Honam artist's Circles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기묘사림의 예술감성과 호남화단

Artistic Sensitivity of Gimyo Sarim and a Character of Honam artist's Circles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