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기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581

STNet ID : 2000026

한자 : 崔漢綺
기타 : Choi Han-ki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혜강 [ 惠岡 ]

UF (비우선어)

 

 

명남루 [ 明南樓 ]

UF (비우선어)

 

 

운로 [ 芸老 ]

UF (비우선어)

 

 

패동 [ 浿東 ]

R1:개념적

RT (관련어)

 

 

신기 () [ 神氣 ]

동아시아 우주론의 해체와 통합 —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구성 원리인 상관적 사유를 계승한 대안적 우주론의 모색 —

The Deconstruction and Integration of East Asian Cosmology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혜강『성무애락론』을 통해 본 전통극의 감정소통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Traditional Theatre through『Sheng-wu-ai-lo-lun』by Hsi K’ang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혜강『성무애락론』을 통해 본 전통극의 감정소통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Traditional Theatre through『Sheng-wu-ai-lo-lun』by Hsi K’ang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

Historicizing Nineteenth-Century Korean Science in the Trap of Pre-Modernity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경험주의의 세 가지 양태: 최한기, 듀이, 화이트헤드

Three Modes of Empirical Philosophies: Cho'e Han-gi, Dewey, and Whitehead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對러시아 인식의 변화

The Change of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to Russia in the 19th Century

역사문화연구 | 42 | 2012 | 역사학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역사철학과 근대적 ‘인간’이해

The Image of the Modern Man and the Philosophy of History by Mishi Amane and Choe Han-Gi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

최한기의 측인학 연구

A study on the person evaluation theory of Choi Han-ki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상상된 보편: 최한기의 운화기

Choi Han-ki's Woon-hwa-gi as the Imagined Universality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상상된 보편: 최한기의 운화기

Choi Han-ki's Woon-hwa-gi as the Imagined Universality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嵇康의 政治思想

嵇康的政治思想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최한기 기학의 소통적 인식론

Communicational Epistemology of Choi, Han-Ki's Ki-hak(氣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최한기 기학의 소통적 인식론

Communicational Epistemology of Choi, Han-Ki's Ki-hak(氣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嵇康의 人生觀- 隱逸을 中心으로 -

嵇康的人生觀 -以隱逸爲中心-

역사와 담론 | 6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