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國寺 題詠詩 硏究
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佛國寺) temp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詩中有我’론 연구 序說 ―淸代‘시중유아론’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theory of "writer exiting in the poetry" of late Chosun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詩中有我’론 연구 序說 ―淸代‘시중유아론’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theory of "writer exiting in the poetry" of late Chosun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橘山李裕元의 서예사관 연구
The Theory on the History of Calligraphy by Yi, Yuwon(李裕元)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清朝名家書牘" 脫草 原文 및 校釋
"清朝名家书牍"脱草原文及其校释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指頭畵에 대한 인식과 제작양상 : 18∼19세기를 중심으로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Finger Paintings in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Joseon Korea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清朝名家書牘" 脫草 原文 및 校釋
"清朝名家书牍"脱草原文及其校释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19세기 朝鮮에서의 段玉裁 학문에 대한 인식 및s說 『文解字注』 수용 양상
Aspects of Recognition of the learning Duan-yucai(段玉裁) and acceptance of Shuowenjiezizhu(說文解字注) in Joseon(朝鮮) in the 19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朝鮮에서의 段玉裁 학문에 대한 인식 및s說 『文解字注』 수용 양상
Aspects of Recognition of the learning Duan-yucai(段玉裁) and acceptance of Shuowenjiezizhu(說文解字注) in Joseon(朝鮮) in the 19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
The interpretation and studying method of Silla history by Silhak scholars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유배’를 제재로 한 현대시의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Modern Poetry with ‘Exile’ Material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초 한중 문학 교류와 吳嵩梁
About the literatur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spread of Oh Seung-lyang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辛未(1811) 通信使行과 문화 교류에 관하여
1811year Sinmi-Tongsinsa(辛未通信使) and Joseon-Japan culture exchange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19세기 초 한중 문학 교류와 吳嵩梁
About the literatur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spread of Oh Seung-lyang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石顚 朴漢永의 茶 想念
The Thinking of Seokgeon Park Hanyeong about the Tea
한국차학회지 |
18 |
3 |
2012 |
농업생산/경영
『二十四詩品』과 18·19세기 朝鮮의 士大夫 文藝
The Twenty-Four Categories of Poetry and the Elites’ Literature of Chosŏn Korea in the 1700s-1800s
한국문화 |
56 |
2011 |
기타인문학
秋史 金正喜의 東國眞體 書家 批判 ― 王羲之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秋史金正喜書藝批評對於東國眞體書家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秋史 金正喜의 東國眞體 書家 批判 ― 王羲之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秋史金正喜書藝批評對於東國眞體書家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현대 秋史 추존 양상과 立象盡美未盡善의 한글서예
The phenomenon people revere Chusa in modern and Hangul calligraphies focusing only beauty of the whole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근현대 秋史 추존 양상과 立象盡美未盡善의 한글서예
The phenomenon people revere Chusa in modern and Hangul calligraphies focusing only beauty of the whole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추사 김정희 연구자료의 고찰과 제언
Analy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s of Kim, Jeonghee and Suggestions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조선후기 崇蘇熱과 東坡笠屐圖
중국어문학논집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조선후기 崇蘇熱과 東坡笠屐圖
중국어문학논집 |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
The Learning of Ancient Stone Monument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Formation and Meaning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
The Learning of Ancient Stone Monument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Formation and Meaning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19세기 한중(韓中) 묵연(墨緣)의 상징, 매감도(梅龕圖)
Maegamdo(梅龕圖), Symbol of Chinese and Korean Scholary Comespondence in the 19th Century
문화재 |
45 |
1 |
2012 |
역사학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연구의 의의-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The Shirhak scholars' studies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Focused on the Kim Chung Hee's study of Silla King Jinheung's monument stones for touring the frontiers -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秋史 金正喜의 尙書 今古文論과 僞書考證
Chusa(秋史) Kim Jeonghui(金正喜)'s Demonstration of Authenticity of the “New Text” and the “Old Text” Chapters in Shangshu(尙書)
태동고전연구 |
28 |
2012 |
기타인문학
金正喜의 <小遊仙詞> 고찰
Chusa Kim Jeong-hee's “Soyuseonsa”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正喜의 <小遊仙詞> 고찰
Chusa Kim Jeong-hee's “Soyuseonsa”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추사 김정희 연구자료의 고찰과 제언
Analy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s of Kim, Jeonghee and Suggestions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추사 김정희 연구자료의 고찰과 제언
Analy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s of Kim, Jeonghee and Suggestions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비교 고찰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oetics in Kim Chusa and So Dongpa - focus on versification based on Jeong'o(靜悟) -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비교 고찰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oetics in Kim Chusa and So Dongpa - focus on versification based on Jeong'o(靜悟) -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된 ― 추사 김정희의 암행보고서
On the newly-discovered ChuSa, Kim JeongHee' Report of traveling in secret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비교 고찰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oetics in Kim Chusa and So Dongpa - focus on versification based on Jeong'o(靜悟) -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비교 고찰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oetics in Kim Chusa and So Dongpa - focus on versification based on Jeong'o(靜悟) -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