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도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예술작품명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71

한자 : 歲寒圖
영어 : Sehando

y02-02 예술작품명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국보 (國寶)

유형/장르

문인화 (文人畵)

제작자

김정희 (金正喜)

제작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소장처(자)

손창근

지정호수_t

국보 제180호

지정일자_t

1974-12-31

주소_t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52-109

제작(설립)년도_t

1844년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완당 세한도 [ 阮堂歲寒圖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해객금준제이도 [ 海客琴樽第二圖 ]

현대시의 재현적 주체와 제시적 주체 - 「세한도」 시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ve subject andpresentational subject in modern poems - Focusing on poems in Sehando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李尙迪과 <歲寒圖> 觀覽 淸朝 人士와의 交遊(2)

Social Intercourse between Lee Sang-Jeok and the Qing Dynasty Figures Who Saw Sehando(歲寒圖) (2)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李尙迪과 <歲寒圖> 觀覽 淸朝 人士와의 交遊(2)

Social Intercourse between Lee Sang-Jeok and the Qing Dynasty Figures Who Saw Sehando(歲寒圖) (2)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李尙迪과 <歲寒圖> 觀覽 淸朝 人士와의 交遊(2)

Social Intercourse between Lee Sang-Jeok and the Qing Dynasty Figures Who Saw Sehando(歲寒圖) (2)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李尙迪과 <歲寒圖> 觀覽 淸朝 人士와의 交遊(2)

Social Intercourse between Lee Sang-Jeok and the Qing Dynasty Figures Who Saw Sehando(歲寒圖) (2)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세한도]에 침윤(浸潤)된 미술 치유성

Healing Energy of the Art Permeated in Saehando(歲寒圖)

조형교육 | 43 | 2012 | 미술교육

[세한도]에 침윤(浸潤)된 미술 치유성

Healing Energy of the Art Permeated in Saehando(歲寒圖)

조형교육 | 43 | 2012 | 미술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