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 『논어집주』와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Learning in Chapter ‘Hagi’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Meaning in Moral Education ― focused on Nonǒjibju and Nonǒkogǔmju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한국합기도 활법수행의 무도철학적 함의
Implications of the Performance of Reviving in Korean Hapkido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4 |
2011 |
체육
박용철 시론 연구 ― ‘과학’이란 균열체를 중심으로
A Study of Park, Yong–cheol' poetics ― Focused on remider of 'science'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헌법재판소에 의한 사법적 정책결정(judicial policy making)의 배경과 한계 - 정당성과 능력문제를 중심으로 -
The Backgrounds and Limits of the Judicial Policy Mak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 Legitimacy and Capacity of the Court -
공법학연구 |
12 |
1 |
2011 |
법학
철학적 인간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문제 - 에디트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을 중심으로 -
Zum Verhältnis zwischen Sein und Wesen in d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In der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성 결정에 관한 법리적 담론 ―최근 트렌스젠더 판례와 관련하여―
A Jurisprudential Discourse on the Sex Determination ―associated with the recent transgender case―
법철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검정 교과서 『중1도덕』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론에 대한 설명의 문제점
Some Problems of the Explanation about Aristotle's State Theory in 'Moral' for the 7th grade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검정 교과서 『중1도덕』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론에 대한 설명의 문제점
Some Problems of the Explanation about Aristotle's State Theory in 'Moral' for the 7th grade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 -제1부-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Edith Stein und die Aufnahme der scholastischen Philosophie des Mittelaters -I. Teil-: Warum Edith Stein?-Mit und über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부조리극에서 시극으로 -J. Tardieu의 열린 극작법-
Du théâtre de l'absurde au théâtre poétique -la dramaturgie ouverte de J. Tardieu-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쾨니히스베르그의 위대한 중국인과 老莊의 어색한 만남
哥尼斯堡城的伟大的中国人与老庄的尴尬会面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쾨니히스베르그의 위대한 중국인과 老莊의 어색한 만남
哥尼斯堡城的伟大的中国人与老庄的尴尬会面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韓國仙道의 ‘一 · 三 · 九論(三元五行論)’과 日本神道
‘The idea of vitality' appeared in ’the idea of the substance and phenomena of being' of Korean Sundo(韓國仙道) and Japanese Shinto(日本神道)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형사보상의 역사와 본질
Die Geschichte und das Wesen der Entschädigung für Strafverfolgungsmaßnahmen
서울법학 |
18 |
2 |
2010 |
법학
형사보상의 역사와 본질
Die Geschichte und das Wesen der Entschädigung für Strafverfolgungsmaßnahmen
서울법학 |
18 |
2 |
2010 |
법학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의 필연성과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콰인의 반(反)본질주의와 관련하여
Aristotelian Necessity and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서양고전학연구 |
39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의 필연성과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콰인의 반(反)본질주의와 관련하여
Aristotelian Necessity and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서양고전학연구 |
|
39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스포츠인류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
A Study on Academic Identity of Sport Anthropolog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3 |
2011 |
체육
본질적 속성과 본질: 플란팅가 본질주의 비판과 형이상학적 필연성
철학적 분석 |
22 |
2010 |
철학
본질적 속성과 본질: 플란팅가 본질주의 비판과 형이상학적 필연성
철학적 분석 |
|
22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개별자와 종 양자에 있어 로고스와 존재방식의 양 국면에 따라 파악되는 본질
Die Essenz bei der Substanzforschung des Aristoteles: in Hinsicht auf ihre zwei Aspekte ‘Logos’ und ‘Dasein’ beim Individuum und der Spezies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개별자와 종 양자에 있어 로고스와 존재방식의 양 국면에 따라 파악되는 본질
Die Essenz bei der Substanzforschung des Aristoteles: in Hinsicht auf ihre zwei Aspekte ‘Logos’ und ‘Dasein’ beim Individuum und der Spezies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인 기독론의 의의
The Significances of Paul Tillich’ Ontological Christology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