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직관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778

한자 : 本質直觀
독일어 : Wesensanschauung

d01-04 개념(정의)

주창자

후설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범주적 직관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현상학적 환원 () [ 現象學的還元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본질 [ 本質 ]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중국 선종 역사 속에 드러난 화두의 생성, 강의, 참구에 관한 검토 - 『벽암록』 제1칙 「달마불식(達磨不識)」 번역을 사례로 삼아 -

An Examination on the Creation, Discourse, and Concentration of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in China - Focusing on Chapter 1, “Dharma's no understanding”, in Bi-yen-lu -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