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가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475

한자 : 五倫歌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오상 () [ 五常 ]

16세기 <어부가>와 <오륜가>,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in Oryunga(오륜가) and Eobuga(어부가)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鮮初樂章 <五倫歌>의 시대적 의미

The Meaning of Times in Early Joseon Dynasty's Akjang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鮮初樂章 <五倫歌>의 시대적 의미

The Meaning of Times in Early Joseon Dynasty's Akjang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16세기의 법적 질서와 <오륜가>의 발생 - 15세기와의 대비적 지점을 중심으로 -

The Legal Order of the 16th Century and the Emergence of -Focused on Contradistinctive Points with the 15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16세기의 법적 질서와 <오륜가>의 발생 - 15세기와의 대비적 지점을 중심으로 -

The Legal Order of the 16th Century and the Emergence of -Focused on Contradistinctive Points with the 15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