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발달

연구분야 : B121101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유아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강화(증가/확장/신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888

한자 : 兒童發達
영어 : child development

b01-02 교육활동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행위자1

부모 (父母)

행위대상(자)1

아동 (兒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2 패턴 패턴

발달 단계 [ 發達段階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외현화 문제 () [ 外現化問題 ]

hasPhenomenon (현상)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공동주의 () [ 共同注意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양육 참여 [ 養育參與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빈곤 아동 [ 貧困兒童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놀이 집단 [ --集團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부모 역할 지능 [ 父母役割知能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외 체계 [ 外體系 ]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Single-Mother Families with Low Income

한국아동복지학 | 36 | 2011 | 사회복지학

방과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한국아동복지학 | 36 | 2011 | 사회복지학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Children’s developmen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Social Capital-

한국아동복지학 | 31 | 2010 | 사회복지학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Children’s developmen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Social Capital-

한국아동복지학 | | 31 | 2010 | 사회복지학

아동발달을 지원하는 어린이도서관 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Children’s Library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한국 어머니들의 아동 발달에 대한 인식과 자녀 사교육의 실제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 Development and Private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

한국 어머니들의 아동 발달에 대한 인식과 자녀 사교육의 실제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 Development and Private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