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이득

연구분야 : B130312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채권법

클래스 : 경제/경영/무역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173

STNet ID : 1001533

한자 : 不當利得
중국어 : 不當得利
라틴어 : condicto

c03-04 경제/경영/무역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이득 [ 利得 ]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률 요건 [ 法律要件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공법상 부당 이득 [ 公法上 不當利得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법률상 원인 [ 法律上 原因 ]

hasIssue (이슈/주제)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악의 [ 惡意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민법 제748조 [ 民法第748條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첨부 [ 添附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실시료 [ 實施料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전용물 소권 [ 轉用物 訴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배당이의 [ 配當異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퇴직금 중간정산 () [ 退職金中間精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당이득 반환청구소송 [ 不當利得 返還請求訴訟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부당 이득죄 [ 不當利得罪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부당 이득세 [ 不當利得稅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과징금 [ 課徵金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제3자를 위한 계약 [ 第三者─爲─契約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원물반환 [ 原物返還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환수 [ 還受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부당 [ 不當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부당 이득 세법 [ 不當利得稅法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선의 [ 善意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불법원인급여 [ 不法原因給與 ]

RT (관련어)

 

 

부당 이득제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당 이득 반환 의무 [ 不當利得利得返還義務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당 이득금 [ 不當利得金 ]

판매목표 강제의 위법성 판단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Illigality of Mandatory sales quota

경쟁법연구 | 24 | 2011 | 기타법학

필리핀 민법상 원인론

Cause in the Civil Code of the Philippines

외법논집 | 35 | 1 | 2011 | 법학

신의칙과 위임법리에의 접목을 통한 충실의무법리의 확대와 발전 : 신뢰와 신임에 관한 법원칙의 사법상의 지위와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How to Graft Anglo-American Concept of Fiduciary Law onto Korean Mandate Law?

홍익법학 | 12 | 2 | 2011 | 법학

단독소유 토지 위에 있는 공유건물과 법정지상권- 토지가 처분된 경우 법정지상권의 성립 및 귀속 문제를 중심으로 - (대상판례 :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10다67159 판결 【건물철거등】)

Surface Right and Building Mortgage Law in Korea – A Review on a Supreme Court Case

인권과 정의 | 426 | 2012 | 법학

사해행위취소 소송의 경합과 가액배상

Concurrent exercise of the right to revoke fraudulent act and monetary compensation

동아법학 | 55 | 2012 | 법학

集合建物에서 專有部分과 垈地使用權 사이의 一體不可分性과 分離處分된 경우의 相互關聯性

The inseparability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use a site and the ownership of the sectional part of a building

민사판례연구 | 32 | 2010 | 법학

集合建物에서 專有部分과 垈地使用權 사이의 一體不可分性과 分離處分된 경우의 相互關聯性

The inseparability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use a site and the ownership of the sectional part of a building

민사판례연구 | | 32 | 2010 | 법학

토지수용과 사법상의 법률문제

Die Aneignung des Grundstücks und ihre Privatrechtlichen Probleme

토지법학 | 28 | 1 | 2012 | 법학

(근)저당권 설정비용의 부담자

Cost-bearer for Creation of Mortgage

고려법학 | 66 | 2012 | 법학

친일재산의 토지를 취득한 선의의 제3자

The Bona-Fide Third Party’s Acquisition of a Plot of Land which is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법학논집 | 15 | 2 | 2010 | 기타법학

친일재산의 토지를 취득한 선의의 제3자

The Bona-Fide Third Party’s Acquisition of a Plot of Land which is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법학논집 | 15 | 2 | 2010 | 기타법학

실기주의 귀속에 관한 대법원판례

La Jurisprudence de la Cour Suprême de la Corée sur la dévolution des nouvelles actions émises aux actionnaires avant l’inscription de la cession des actions anciennes au registre des actionnaires dénommé registre des transferts

인권과 정의 | 418 | 2011 | 법학

원천징수의무자의 경정청구권에 관한 해석론

The Construction Theory about the Right of Request for Reassessment by Employer and Withholding Agent

조세법연구 | 18 | 1 | 2012 | 법학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와 보호법익 – 시세조종과 부당이득을 중심으로 -

Criminal Penalty for Market Misconduct and the Concept of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상사판례연구 | 25 | 1 | 2012 | 법학

契約登記名義信託을 둘러싼 몇 가지 法律的 爭點에 대한 검토

The study of ‘Contract and Registration Nominal Trust’

성균관법학 | 23 | 3 | 2011 | 법학

사무관리에 있어서 관리의사와 보수청구권: 대법원 2010. 1. 14. 선고 2007다55477 판결을 계기로

Fremdgeschäftsführungswille und Vergütungsanspruch bei der Geschäftsführung ohne Auftrag

경희법학 | 47 | 2 | 2012 | 비교법학

집합건물의 법정대지에 관한 소고

Study of some issues about the statutory Land Area Right on the Aggregate Buildings

집합건물법학 | 8 | 2011 | 기타법학

出資損失補塡約定과 株主平等의 原則(대상판결 : 대법원 2007.6.28. 선고 2006다38161,38178 판결)

Commentaire de l’arrêt rendu le 28 juin 2007 par la Cour Suprême de la Corée sur l’application du principe de l’egalite entre les actionnaires à la promesse de combler la perte subie par la souscription à des actions

인권과 정의 | 426 | 2012 | 법학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헌재 결정(2001헌가25)을 중심으로

A Law-and-Economics Analysis on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With Emphasi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2001_HUNGA_25)

법경제학연구 | 7 | 2 | 2010 | 법경제학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헌재 결정(2001헌가25)을 중심으로

A Law-and-Economics Analysis on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With Emphasi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2001_HUNGA_25)

법경제학연구 | 7 | 2 | 2010 | 법경제학

퇴직금 월할지급 약정의 효력과 관련 쟁점 - 대상판결 : 대법원 2010. 5. 20. 선고 2007다90760 판결 (전원합의체) -

Issues related to the agreements for the dividing monthly payment of severance

외법논집 | 35 | 1 | 2011 | 법학

제3자에 대한 계약의 대항력 - 프랑스에서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

L’opposabilité du contrat aux tiers

법학논집 | 15 | 3 | 2011 | 기타법학

불법원인급여와 관련한 법적 쟁점

The legal matters in connection with the Payment in illegal cause

동아법학 | 51 | 2011 | 법학

특허의 소급적 무효와 기지불 실시료의 부당이득반환 허부

Should royalty already paid for patent license be returned when patent has been nullified retrospectively?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특허의 소급적 무효와 기지불 실시료의 부당이득반환 허부

Should royalty already paid for patent license be returned when patent has been nullified retrospectively?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요양급여비용채무와 손해배상채권의 상계 -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따른 요양급여비용의 환수와 요양급여비용채권의 상계를 중심으로 -

A Setoff with a Liabilities of Medical Care Expenses and a Receivable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중앙법학 | 14 | 2 | 2012 | 법학

퇴직금 명목 금원의 부당이득 성립 여부 및 상계의 허부 (대상판결:대법원 2010. 5. 20. 선고 2007다90760 전원합의체 판결)

ether it falls into a ‘transfer of property for illegal purpose’ category (This paper explains the en banc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rendered on May 20, 2010, Supreme Court 2010. 5. 20. 2007da90760.)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퇴직금 명목 금원의 부당이득 성립 여부 및 상계의 허부 (대상판결:대법원 2010. 5. 20. 선고 2007다90760 전원합의체 판결)

ether it falls into a ‘transfer of property for illegal purpose’ category (This paper explains the en banc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rendered on May 20, 2010, Supreme Court 2010. 5. 20. 2007da90760.)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퇴직금 분할 약정과 부당이득반환 여부 - 대법원 2010. 5. 20. 선고 2007다90760 판결을 중심으로 -

Nichtige Auszahlung des Abschiedszuschusses und Rückforderungsanspruch des Arbeitgebers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퇴직금 분할지급약정의 효력과 분할 지급된 금원의 성격

Wirksamkeit der Vereinbarung der monatlichen Abschidzuschussauszahlung und Rechtscharakter des Geleisteten

고려법학 | 63 | 2011 | 법학

퇴직금 선지급의 법적 효력 ― 대법원 2010.5.20.선고 2007다90760판결을 중심으로 ―

Legal effect of interim payment of retirement allowance

노동법논총 | 21 | 2011 | 노동법

월급에 포함하여 지급된 퇴직금 관련 법적 검토

A Review of Legal Aspects Related to Retirement Allowances Paid with Monthly Salaries

원광법학 | 26 | 3 | 2010 | 기타법학

토지 점유에 따른 장래의 부당이득반환청구의 訴의 訴益 -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The interest of lawsuit of the future action of injustice profits return in land occupation - focused on the related judicial precedent-

원광법학 | 27 | 2 | 2011 | 기타법학

로마법상 부당이득에 관한 小考

Eine Skizze über die ungerechtfertigte Bereicherung im römischen Recht

재산법연구 | 29 | 2 | 2012 | 민법

物上代位權의 喪失로 인한 不當利得返還請求 再考 - 大判 2009. 5. 14, 2008다17656 [공2009상, 829]를 계기로 -

Ein Anspruch wegen Bereicherung durch Eingriff in ein dingliches Surrogationsrecht

법조 | 59 | 7 | 2010 | 법학

物上代位權의 喪失로 인한 不當利得返還請求 再考 - 大判 2009. 5. 14, 2008다17656 [공2009상, 829]를 계기로 -

Ein Anspruch wegen Bereicherung durch Eingriff in ein dingliches Surrogationsrecht

법조 | 59 | 7 | 2010 | 법학

경쟁법상 부당이득환수

Abschöpfung der ungerechtfertigten Gewinne im Wettbewerbsrecht

경쟁법연구 | 24 | 2011 | 기타법학

An Examination on the Doctrine of Negotiorum Gestio- focusing on limiting the doctrine to its proper scope -

사무관리 법리에 관한 고찰- 동 법리의 적용을 타당한 범위로 제한할 것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

법학논고 | 34 | 2010 | 법학

An Examination on the Doctrine of Negotiorum Gestio- focusing on limiting the doctrine to its proper scope -

사무관리 법리에 관한 고찰- 동 법리의 적용을 타당한 범위로 제한할 것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

법학논고 | | 34 | 2010 | 법학

제3자에 의한 부합과 부당이득 반환의무자 ― 대법원 2009.9.24. 2009다15602를 계기로 ―

Verbindung durch Dritte und Herausgabepflichtige der ungerechtfertigten Bereicherung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제3자에 의한 부합과 부당이득 반환의무자 ― 대법원 2009.9.24. 2009다15602를 계기로 ―

Verbindung durch Dritte und Herausgabepflichtige der ungerechtfertigten Bereicherung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프랑스의 부당이득법

Une étude sur l'enrichissement sans cause en droit français

재산법연구 | 29 | 2 | 2012 | 민법

지식재산권의 침해와 부당이득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and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산업재산권 | 36 | 2011 | 법학

독일법에서의 부당이득의 개념 - 우리 대법원 판결례와의 비교를 통한 이해

Unjust Enrichment in German Law: An Understanding by comparison with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cases

재산법연구 | 29 | 2 | 2012 | 민법

지식재산권의 행사와 부당이득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o exclude and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법학논집 | 16 | 2 | 2011 | 기타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