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연구분야 : B1201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B121101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유아교육

클래스 : 교육기관
건축물(시설물)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349

STNet ID : 1001544

한자 :
영어 : Day Care Center

a02-02 교육기관

a04-07 건축물(시설물)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유아 교육 기관 [ 幼兒敎育機關 ]

B2:전체

BT (상위어)

 

 

유아조직기관

BT (상위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a04-07 건축물(시설물)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영유아 보육 시설 [ 嬰幼兒保育施設 ]

BT (상위어)

 

 

아동 전용 시설 [ 兒童專用施設 ]

N1:종류

hasKind (종류)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직장 어린이집 [ 職場--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장애 전담 어린이집 [ 障礙 專擔 -- ]

hasKind (종류)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a02-02 교육기관 /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a02-02 교육기관 / a04-07 건축물(시설물)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정 어린이집 [ 家庭--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a04-07 건축물(시설물)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공형 어린이집 () [ 公共形-- ]

hasKind (종류)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a02-02 교육기관 /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서울형 어린이집 () [ --形-- ]

R1:개념적

RT (관련어)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5세 누리과정 [ 五歲--課程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어린이집 교사 () [ --敎師 ]

RT (관련어)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유치원 [ 幼稚園 ]

RT (관련어)

 

 

영유아보육정책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유치반 [ 幼稚班 ]

RT (관련어)

 

 

유아원 [ 幼兒園 ]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아동 () [ 兒童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육아 [ 育兒 ]

RT_Y (◄관련어)

활동장소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일반 어린이집 교사 [ 一般--保育敎師 ]

어린이집 만 1세 학급에서 보이는 영아들의 정서표현 탐색

Searching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one year old infants class in their regular daycare

어린이미디어연구 | 11 | 1 | 2012 | 유아교육

어린이집 교사의 식사지도 방법과 지도과정에서의 어려움

Lunch time in Childcare centers: Practises and Challenges

유아교육학논집 | 16 | 1 | 2012 | 교육학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반 운영관리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Full-Day Class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한국보육학회지 | 11 | 3 | 2011 | 영유아복지

어린이집 만 1세 학급에서 보이는 영아들의 정서표현 탐색

Searching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one year old infants class in their regular daycare

어린이미디어연구 | 11 | 1 | 2012 | 유아교육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에 대한 요구

A Study o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Needs for Daycare Centers

한국교육문제연구 | 30 | 3 | 2012 | 기타교육학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justment Scale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한국영유아보육학 | 68 | 2011 | 사회복지학

생애 초기 교육기회와 불평등: 취학 전 교육 및 보육경험의 사회계층간 격차

Opportunity and inequality at the starting gate: Social class difference in early care and education in Korea

교육사회학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

어린이집 위험요인과 대처방법의 실태분석을 통한 위험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isk Management Methods through Analysis of Actual onditions of Risk Management in Child Day Care Center

한국영유아보육학 | 69 | 2011 | 사회복지학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The Awareness and Needs of Childcare Center Principals an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s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3 | 2011 | 유아교육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관리의 어려움과 해결을 위한 노력

The difficulties and Efforts to Solve in Managing Private Child-care Institute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3 | 2011 | 유아교육

어린이집 실내놀이 영역 계획을 위한 유아의 놀이행위 관찰 연구

Observation Research on Preschoolers' Play Behavior for the Design Plan for the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6 | 2010 | 디자인

어린이집 실내놀이 영역 계획을 위한 유아의 놀이행위 관찰 연구

Observation Research on Preschoolers' Play Behavior for the Design Plan for the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6 | 2010 | 디자인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과 그 의미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Supervisio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과 그 의미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Supervisio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