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교육

연구분야 : B121101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유아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23

STNet ID : 1000683

한자 : 幼兒敎育

b01-02 교육활동

행위대상(자)

유아 (幼兒)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육아 [ 育兒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경제 교육 [ 幼兒經濟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치원 통합교육 () [ 幼稚園統合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조기 교육 [ 幼兒早期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영어 교육 [ 幼兒英語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수학 교육 [ 幼兒數學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사회 교육 [ 幼兒社會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과학 교육 [ 幼兒科學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생태 유아 교육 [ 生態幼兒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음악교육 () [ 幼兒音樂敎育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2-01 감정 감정

영아 애착 [ 嬰兒愛着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애착증진 프로그램 [ 愛着增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베라이터-엥글만프로그램 [Bereiter-Engelmann program]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프리드리히 프뢰벨 [Froebel]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마리아 몬테소리 [Montessori, Maria]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헤드 스타트 [head start]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메이킹북 [makingbook]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가정 교육 () [ 家庭敎育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상호교류 분석 이론 () [ 相互交流分析理論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생각의 원리 () [ --原理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몬테소리 교육 [ --敎育 ]

hasMethod (방법/기법)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메이킹북 프로그램 [a making-books program]

hasMethod (방법/기법)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유아 교수방법 () [ 幼兒敎授方法 ]

hasMethod (방법/기법)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레지오 에밀리아 [reggio emilia]

레지오 접근에서 배움과 가르침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a Preschool Teacher Who Teamed up with a Preschool Principal on Learning and Teaching

한국영유아보육학 | 61 | 2010 | 사회복지학

레지오 접근에서 배움과 가르침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a Preschool Teacher Who Teamed up with a Preschool Principal on Learning and Teaching

한국영유아보육학 | | 61 | 2010 | 사회복지학

자타카(Jātaka)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Using Jātaka on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Child

한국영유아보육학 | 69 | 2011 | 사회복지학

유치원 운영자의 페다고지스타로서의 역할의 의미

The meanings of a kindergarten director’s role as a pedagogista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유치원 운영자의 페다고지스타로서의 역할의 의미

The meanings of a kindergarten director’s role as a pedagogista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체감형 비디오 게임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참여 및 변화 양상

Participa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Interactive Video Game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 4 | 2011 | 교육학

문헌분석과 현장방문을 통한 영국 영유아평가 고찰

A study on the child assessment system of British preschools through documents analyses and visiting preschool settings

유아교육연구 | 31 | 4 | 2011 | 교육학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The Implications of Schiller‘s and Dewey's Aesthetic Theori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 1 | 2011 | 교육학

Dewey의‘교과의 심리화’의 교실에서의‘구현’에 관한 탐구 :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practical manifestation of Dewey'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Dewey의‘교과의 심리화’의 교실에서의‘구현’에 관한 탐구 :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practical manifestation of Dewey'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 0)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Analysis of the NURI System on the basis of 2011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Level 0

유아교육학논집 | 16 | 2 | 2012 | 교육학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보육과정의 적용과 확장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Childcare Curriculum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한국영유아보육학 | 71 | 2012 | 사회복지학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유아교육연구 | 30 | 3 | 2010 | 교육학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유아교육연구 | 30 | 3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Developing and searching for meaning of Narrativ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Developing and searching for meaning of Narrativ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the Education Using Robo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6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the Education Using Robo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6 | 2010 | 교육학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 Analysis of Korean Journal Articles

한국보육학회지 | 11 | 2 | 2011 | 영유아복지

저소득층 유아들의 숲유치원 경험의 의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forest kindergarten experiences provid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유아교육연구 | 32 | 4 | 2012 | 교육학

조기영어교육 교육목표 설정을 위한 현안 과제 및 해결 방안 고찰

A Study in Construction Educational Objec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외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Adapting to their Major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예비초등교사의 유아교육 및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 강원도 소재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ity Education

한국영유아보육학 | 67 | 2011 | 사회복지학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 기인한 유아 문학의 방향 및 과제

The Direction of Child Literatures Which are Suitable for Postmodernism

한국영유아보육학 | 68 | 2011 | 사회복지학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to Discover Kindergarten and Day Center Teacher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3 | 2011 | 유아교육

유아 감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탐색

Meaning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Sensibility Education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4 | 2010 | 유아교육

유아 감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탐색

Meaning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Sensibility Education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4 | 2010 | 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Brain-scientific Consider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3 | 2010 | 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Brain-scientific Consider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3 | 2010 | 유아교육

만 5세 무상교육을 위한 비용 추계

Estimating the Cost of Free Education for 5 Year-old Children

교육재정경제연구 | 20 | 3 | 2011 | 교육학

Family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에서의 가족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 30 | 2 | 2012 | 기타교육학

‘전인’ 실현을 위한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 방향 모색

The Direction for an Integrated Approa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Whole Person’

무용역사기록학 | 21 | 0 | 2011 | 무용

유아교육의 공적부조 확대 필요성 및 지원방안

Needs of Public assistance Financ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행정학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의 공적부조 확대 필요성 및 지원방안

Needs of Public assistance Financ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행정학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An Extraction of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한국영유아보육학 | 62 | 2010 | 사회복지학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An Extraction of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한국영유아보육학 | | 62 | 2010 | 사회복지학

유아교육의 공교육체제 강화와 유치원의 책무성

The accountability of kindergarten on the adv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유아교육연구 | 30 | 4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의 공교육체제 강화와 유치원의 책무성

The accountability of kindergarten on the adv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유아교육연구 | 30 | 4 | 2010 | 교육학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저널쓰기 활동에 나타난 경험 탐색

An Inquiry into the Drawing and Journal Writing Ac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1 | 2011 | 유아교육

〔쟁점연구 : 교육방법〕유아교육에서의 수업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생태유아교육적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ssues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4 | 2010 | 유아교육

〔쟁점연구 : 교육방법〕유아교육에서의 수업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생태유아교육적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ssues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4 | 2010 | 유아교육

일본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 교육

Nature Friendly-Educ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in Japan

한국일본교육학연구 | 16 | 2 | 2012 | 기타교육학

지방자치단체의 유아교육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만 5세 아동 초등 취학 방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inance System in Korea

산업경제연구 | 24 | 1 | 2011 |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