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정계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969

한자 : 白頭山定界碑
영어 :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y07-03 건축물/시설물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계비 [ 定界碑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만주사변 () [ 滿洲事變 ]

RT_X (관련어►)

관련 사건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간도협약 () [ 間島協約 ]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Changes in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Yun Gwan and Nine Fortresses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s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간도문제(間島問題)의 기원(起源)과 해결방안(解決方案)

A Study on a Problem of Territorial Rights Regarding Gando Area and How It could be Solved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白頭山(長白山)和 中.韓(朝鮮) 國境線 問題

白頭山(長白山)和中.韓(朝鮮)國境線 問題 (The Borderline between Korea and China along with Paekdusan)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

조・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

朝鮮と中国との間の境界紛争と古地図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조청 국경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이화자, 『한중국경사 연구』(혜안, 2011)에 대한 서평

A New Point of View on the Sino-Choson Border Problem : Lee Hwa Ja(Li hua zi), "A Study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Frontier"(Hyean, 2011)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