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76

한자 : 文廟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묘 (廟)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지정호수_t

제141호

지정일자_t

1963년 1월 21일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성당 (사당) [ 聖堂 ]

UF (비우선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근궁 [ 芹宮 ]

UF (비우선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성묘 (사당) [ 聖廟 ]

S:전후

LT (이후명)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공자 사당 [ 孔子詞堂 ]

PT (이전명)

 

 

선사묘 [ 先師廟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배향 () [ 配享 ]

RT (관련어)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문묘제례악 [ 文廟祭禮樂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공자 () [ 孔子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노고 (북) [ 路鼓 ]

廣州鄕校의 移建과 重修

Transfer and Renovation of Gwangju Hyanggyo

서울과 역사 | 75 | 2010 | 역사학

廣州鄕校의 移建과 重修

Transfer and Renovation of Gwangju Hyanggyo

서울과 역사 | | 75 | 2010 | 역사학

세종대왕의 유불화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micable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鄕校의 전국 분포 및 역사

Nationwide Distribution and History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鄕校의 전국 분포 및 역사

Nationwide Distribution and History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유교의 현황과 成均館 釋奠

韓国儒教の現況と成均館の釈奠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고려시대의 문묘

The Confucian shrine in Koryo period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서울 문묘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Fengshui Feature in the Seoul Confucian shrine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朝鮮時代文廟享祀位次的特徵及其敎育的啓示 -以與明淸時期比較爲中心-

한국교육사학 | 34 | 3 | 2012 | 교육학

한⋅중 문묘 석전일무의 무위변천과 그 사상

Wu-Wei of Dance at Korean⋅Chinese Munmyoseokjeon(Ceremonies at Confucian Shrines) and Its Thoughts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