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교육

연구분야 : G030102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558

한자 : 美術敎育
영어 : art education
영어 : Arts Educatio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미술 () [ 美術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예술 교육 () [ 藝術敎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 미술 교육 [ 韓國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R] 프랑스 미술 교육 () [ --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일본 미술 교육 [ 日本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미술 비평 교육 [ 美術批評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중학교 미술 교육 () [ 中學校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미국 미술 교육 [ 美術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교 미술 교육 () [ 學校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시각문화 미술 교육 () [ 視覺文化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미술 교육 () [ 幼兒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미술 교육 () [ 初等美術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고등학교 미술 교육 () [ 高等學校美術敎育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미적 요소 [ 美的要素 ]

hasPhenomenon (현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색채 교육 [ 色彩敎育 ]

hasProcess (과정)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미술 교육과정 () [ 美術敎育課程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미술 교육 학과 [ 美術敎育學科 ]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미술계 [ 美術界 ]

중등미술에 있어서 색채교육 방향에 대한 제언 - 영화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olor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Art Class

중등교육연구 | 59 | 1 | 2011 | 교육학

시각적 재현과 주체, 언어와의 관계: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의 미술교육에의 함의

Post-structural Hermeneutic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Subject,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미술과 교육 | 13 | 2 | 2012 | 미술이론

21세기 융복합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과 특성 탐색

Study on the Role and Elements of Art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Education

조형교육 | 43 | 2012 | 미술교육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과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통합적 접목에 대한 소고

A Brief Review on the Connected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Museums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조형교육 | 37 | 2010 | 미술교육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과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통합적 접목에 대한 소고

A Brief Review on the Connected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Museums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조형교육 | | 37 | 2010 | 미술교육

한국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지 디자인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Art Textbook Cover Design in Korea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7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지 디자인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Art Textbook Cover Design in Korea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7 | | 2010 | 학제간연구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아동들의 음악 감상화 연구

A study on the music impression paintings of children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아동들의 음악 감상화 연구

A study on the music impression paintings of children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Team teach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Partnership for Public Art Lessons among the Art Educator, the Artist, and the Classroom Teacher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Team teach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Partnership for Public Art Lessons among the Art Educator, the Artist, and the Classroom Teacher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창의적 조형감각 향상을 위한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사례

A Case Study on Simulation Program for Development of a Creative Formative Sense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미술교육 효용 연구*한국적 행위예술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rt Education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rt Component

미술교육논총 | 26 | 2 | 2012 | 미술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Arts Education of Art and Literature for Growth of Self Motivation Based on Creative Activities

예술교육연구 | 8 | 3 | 2010 | 예술교육학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Arts Education of Art and Literature for Growth of Self Motivation Based on Creative Activities

예술교육연구 | 8 | 3 | 2010 | 예술교육학

Web 2.0에 기반 한 스마트 러닝(SMART-learning) 에서의 미술교육 - 중학교에서 디지털 몽타주를 중심으로 -

Art Education in SMART-Learning Based Web.2.0: Focusing on Digital Montage in Middle School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미술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Art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15 | 2 | 2011 | 컴퓨터교육학

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

A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Art Education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acher's Scaffolding in Art Class on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교원교육 | 27 | 4 | 2011 | 교육학

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체계

Paradigm Shift in Humanities, from Humanism to Culture-centered: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

인성의 형성과 치료를 위한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술감상을 통한 인성치료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Art Education for the Personality Therapy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생태학적 관점의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An Ecological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Art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미술교육에서 민속예술의 활용 가치

Application Value of Folk Art in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창작스튜디오의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Application scheme of art residency program for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창작스튜디오의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Application scheme of art residency program for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Art Propel 학습이론에 기초한 Book Art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ok Art Utilization Based on Art Propel Learning Theory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12 | 27 | 2011 | 디자인

입체조형 만다라를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reativity & Character Program Using 3-Dimensional Mandala

미술교육연구논총 | 32 | 0 | 2012 | 예술교육학

오브제의 상징성을 통한 미술교육과 감상 -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품을 중심으로 -

Study on Art Educ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the Symbolisms of Art Objects: on the Works of Louise Bourgeois

미술교육연구논총 | 32 | 0 | 2012 | 예술교육학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을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through Arts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inly in The Media Eecology Perspective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 -디지털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by using Digital Medi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digital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10 | 2 | 2012 | 예술일반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The program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 For the grades 5 and 6 -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The program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 For the grades 5 and 6 -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

카오스 이론의 미술교육학적 의의 탐구

A Study on the Chaotic Paradigmfor Exploring Art Education

조형교육 | 37 | 2010 | 미술교육

카오스 이론의 미술교육학적 의의 탐구

A Study on the Chaotic Paradigmfor Exploring Art Education

조형교육 | | 37 | 2010 | 미술교육

미술교육 공간 개념의 재탐색 - 듀이의 미학에 기초하여 -

Redefining Concept of Art Educational Space: based on Dewey's Aesthetics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Living in a Digital Art World: Visual Culture and Pedagogy on Polyvore

디지털 미술계에서의 생활: 폴리보어(Polyvore)에서의 시각문화와 교수법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Living in a Digital Art World: Visual Culture and Pedagogy on Polyvore

디지털 미술계에서의 생활: 폴리보어(Polyvore)에서의 시각문화와 교수법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The Potential Space of Art: Creativity, Affect and transgression

미술의 잠재적 공간: 창의력, 감응과 관습에 대한 도전

미술과 교육 | 13 | 1 | 2012 | 미술이론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by Secondary Students of Schools for the Visual Impairment

시각장애연구 | 27 | 3 | 2011 | 특수교육

통합적 인지와 창의적 사고의 도구 - 21세기 창의성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

Integrated Cognition and Creative Thinking Tools: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Discourse of Creativity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구성주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연구

A Study on Art Education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of Constructivism

예술교육연구 | 9 | 2 | 2011 | 예술교육학

미술대학의 인문교양교육 강화 교과과정의 연구 - 미국 미술대학 교육과정 사례 -

A Study of Liberal Arts and Humanity Education in the Curricular of Art Universities: Examining the Curricular of the Art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유비쿼터스(Ubiquitous) 패러다임 시대의 미술교육 전망

The Prospect of Art Education in the Age of Ubiquitous Paradigm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초등 미술과에서 지적 감상 요소의 교수․학습에 따른 미술 감상 태도의 변화

Change of Art Appreciation Attitude after Getting Guidance on Intellectual Appreciation Elements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운영 분석 및 만족도 조사 연구

The Analysis of The Art Education Management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6 | 2 | 2012 | 미술

테라코타 교육의 실태 및 내용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rra Cotta Education - Focusing on the 2007 Revised Art Curriculum and Textbook -

교원교육 | 28 | 2 | 2012 | 교육학

다문화 시대, 미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The social role and tasks of art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이 아동의 미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Therapy and Art Education on Art Ability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미술치료연구 | 17 | 3 | 2010 | 심리과학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이 아동의 미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Therapy and Art Education on Art Ability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미술치료연구 | 17 | 3 | 2010 | 심리과학

미술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 Kenneth R. Beittel의 인간성적 연구를 중심으로 -

Qualitative research of art education study: based on humanistic research by Kenneth R. Beittel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Developing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urriculum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과정 개발과 연구

조형교육 | 37 | 2010 | 미술교육

Developing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urriculum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과정 개발과 연구

조형교육 | | 37 | 2010 | 미술교육

Computer Graphics in Art and Design Education - Exploring History,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

현대 미술과 디자인교육에서 컴퓨터그래픽의 의미 - 역사, 특징, 그리고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교원교육 | 26 | 4 | 2010 | 교육학

Computer Graphics in Art and Design Education - Exploring History,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

현대 미술과 디자인교육에서 컴퓨터그래픽의 의미 - 역사, 특징, 그리고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교원교육 | 26 | 4 | 2010 | 교육학

프랑스 중등학교 미술교사 임용시험 전형방식별 출제문항유형 분석

Analysis of Art Education's Test Questions in Secondary Art Teachers' Selection in France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

중국 근대 미술교육 제도와 국가 정체성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al system in Modern China and National Identity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2007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 대한 분석- ‘재료’를 표제어로 한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terial’ Approach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s on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미술교육논총 | 26 | 2 | 2012 | 미술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in art activities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미술교육에서의 만다라 교재화

Mandala as a Teaching Material in Art Educati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9 | 2011 | 학제간연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미술과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middle school art class-

청소년문화포럼 | 25 | 2010 | 청소년복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미술과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middle school art class-

청소년문화포럼 | | 25 | 2010 | 청소년복지

아동의 권리, 복지, 평등을 위한 미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맥락적 고찰 -

Art Education for Child Rights, Welfare, and Equity - The Contextual Approach to Art Education Based on the Extend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아동의 권리, 복지, 평등을 위한 미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맥락적 고찰 -

Art Education for Child Rights, Welfare, and Equity - The Contextual Approach to Art Education Based on the Extend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

미술의 치유적 관점과 그 교육적 활용 가능성

The Healing Aspect of Art and Its Educational Potential

교육연구 | 54 | 2012 | 교과교육학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Exploring practical competences to promote social values of visual arts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Exploring practical competences to promote social values of visual arts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미술교사의 자기장학 방안 연구

A Study on Self-Supervision for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