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화

연구분야 : B089900 사회과학 > 사회학 > 기타사회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88

한자 : 社會化
영어 : socializat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사회성 [ 社會性 ]

N1:종류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재사회화 [ 再社會化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사회화 [ 政治 社會化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교직 사회화 () [ 敎職社會化 ]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조직 사회화 [ 組織社會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인상 관리 [ 印象管理 ]

hasPhenomenon (현상)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사회성 발달 [ 社會性發達 ]

isAffectedBy (영향요인)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모-자 상호작용 [ 母子相互作用 ]

isCausedBy (원인)

 

a01-03-02 인간(대인관계) 인간(대인관계)
a01-03-02 인간(대인관계)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일반화된 타자 () [ 一般化--他者 ]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친사회적 행동 () [ 親社會的行動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늑대어린이 [Wolf-children]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규칙 학습 () [ 規則學習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훈육 [ 訓育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탈사회화 [ 脫社會化 ]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논고

A Study on the Nature and Objective of Moral Studies

윤리연구 | 1 | 86 | 2012 | 학제간연구

그래스볼과 블룸의 정의적 영역 학습목표 모형 비판

The Critique of Krathwohl & Bloom's Affective Objectives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그래스볼과 블룸의 정의적 영역 학습목표 모형 비판

The Critique of Krathwohl & Bloom's Affective Objectives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

Language Use and Development of a Bilingual Child Learning Two Languages Simultaneously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감정적 여성, 이성적 남성: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놀이에 나타난 젠더와 감정

Emotional Women and Rational Men: 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Emotion and Gender among Young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한국문화인류학 | 43 | 1 | 2010 | 역사학

감정적 여성, 이성적 남성: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놀이에 나타난 젠더와 감정

Emotional Women and Rational Men: 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Emotion and Gender among Young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한국문화인류학 | 43 | 1 | 2010 | 역사학

『삼국유사』에 수록된 시가와 배경설화의 교육적 의미

Review for Educational Meaning in Poetry and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The Formation and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대학원생들의 실험실 경험과 과학자 되기 - 암묵지와 과학자사회 규범의 전수 -

Laboratory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and Becoming a Scientist - Learning Tacit Knowledge and Norms of Science -

담론201 | 13 | 2 | 2010 | 사회학

대학원생들의 실험실 경험과 과학자 되기 - 암묵지와 과학자사회 규범의 전수 -

Laboratory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and Becoming a Scientist - Learning Tacit Knowledge and Norms of Science -

담론201 | 13 | 2 | 2010 | 사회학

한국사회의 다문화인식과 신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Belief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동북아연구 | 26 | 2 | 2011 | 국제관계/협력

기독교 대학 신앙공동체 실천 연구

A Study of the Faith Community Practice of Christian University

성경과 신학 | 61 | 2012 | 기독교신학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시민성의 의미

The Meaning of Political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인문사회과학연구 | 27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시민성의 의미

The Meaning of Political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인문사회과학연구 | | 27 | 2010 | 학제간연구

초등예비교사들의 미술작품 해석에 드러난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Art Interpretations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초등예비교사들의 미술작품 해석에 드러난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Art Interpretations

미술과 교육 | 11 | 2 | 2010 | 미술이론

개성 있지만 튀지 않는 아이로: 한국 중산층 부모들의 자아 및 감정 사회화 관습

Raising Your Child to Be Unique but Harmonious: Korean Middle-class Parents’Socialization Practices of the Self and Emotion

한국문화인류학 | 44 | 1 | 2011 | 역사학

신자유주의 금융위기와 주기적 공황: 2007/2009년 위기의 성격과 전망

The Character of the 2007/2009 Crisis and Perspectives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7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신자유주의 금융위기와 주기적 공황: 2007/2009년 위기의 성격과 전망

The Character of the 2007/2009 Crisis and Perspectives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 17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보살(菩薩)의 회심 ― 유식불교 『攝大乘論』에 나타난 ‘보살’을 중심으로 ―

Bodhisattva' Conversion from Socio-Psychological Point of View ― Focusing on Bodhisattva in Mahāyānasaṃgraha(攝大乘論) ―

종교연구 | 58 | 2010 | 종교학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보살(菩薩)의 회심 ― 유식불교 『攝大乘論』에 나타난 ‘보살’을 중심으로 ―

Bodhisattva' Conversion from Socio-Psychological Point of View ― Focusing on Bodhisattva in Mahāyānasaṃgraha(攝大乘論) ―

종교연구 | | 58 | 2010 | 종교학

저소득층 성매매 십대여성들의 성매매와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일 연구: 통상적인 ‘청소년 사회화 과정’에 대한 재고(再考)를 논의하며

A Stud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Lower Class Young Girls Who Experience Prostitution

가족과 문화 | 22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저소득층 성매매 십대여성들의 성매매와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일 연구: 통상적인 ‘청소년 사회화 과정’에 대한 재고(再考)를 논의하며

A Stud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Lower Class Young Girls Who Experience Prostitution

가족과 문화 | 22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어머니역할(mothering) 에 대한 심리인류학적 연구

Studies on Mothering in Psychological Anthropology

비교문화연구 | 18 | 1 | 2012 | 인류학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A Comparative Study on Consciousness Gap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Durkheim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Eine Studie ueber die kritische Reflexion des Durkheims Menschenbilds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2 | 2010 | 교육철학/사상

한국과 스웨덴 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화 환경 비교 연구 : 긍정적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ization environment of family between Korean and Swedish youth :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ositive ego-identity

청소년학연구 | 17 | 8 | 2010 | 기타사회과학

한국과 스웨덴 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화 환경 비교 연구 : 긍정적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ization environment of family between Korean and Swedish youth :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ositive ego-identity

청소년학연구 | 17 | 8 | 2010 | 기타사회과학

미국 만 4세반 교사의 학급규칙 적용전략에 나타난 사회화 과정 고찰

Understanding a Teacher's Disciplinary Strategies in a 4-year-old Classroom from Socialization Perspective

교육연구 | 52 | 2011 | 교과교육학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이해: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Conscience in Psychological Views: focused on C. G. Jung’s Psychology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그들은 왜 서로 다른 교사가 되었을까?:사회화의 다양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Why Did They Become Different Teachers?: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the Variety of Socialization

교육사회학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