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어제

연구분야 : B111200 사회과학 > 인류학 > 종교및민속신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692

한자 : 豊漁祭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굿(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지정일자_t

1985. 02. 01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용신제

UF (비우선어)

 

 

용굿

UF (비우선어)

 

 

둑제

UF (비우선어)

 

 

갯제 [ -祭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서해안 배연신굿 [ 西海岸--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대동굿 [ 大同--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어로 신앙 () [ 漁撈信仰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위도 띠뱃놀이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동해안별신굿 (국가무형유산) [ 東海岸別神--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남해안별신굿 (국가무형유산) [ 南海岸別神-- ]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의례의 상대성 고찰

Study of the ambivalence of the Tokkaebi belief and the relativity of its ritual

남도민속연구 | 22 | 2011 | 역사학

개발에 의한 생업환경(生業環境)의 변화와 공동체신앙의 적응 -계화도를 중심으로-

Revival of Village’s Religious Rituals : New Meanings and Functions -A case study for the Gyehwa-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