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 古典詩歌 작품 수 계산에 대한 일고찰 - 蘇軾 <竹枝歌> 9章과 歷代 ‘和陶詩’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unting the Number of Works in Chinese Traditional Poetry
중국학논총 |
37 |
2012 |
중국어와문학
동아시아 散·韻 혼합담론의 始原으로서의 『春秋左氏傳』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unchu Jwassijeon As an Origin of the Prose-Verse Mixed Styled Discourse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散·韻 혼합담론의 始原으로서의 『春秋左氏傳』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unchu Jwassijeon As an Origin of the Prose-Verse Mixed Styled Discourse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권익륭의 <풍아별곡> 연구
A Study on Pungabyeolgok(풍아별곡) by Gwon Ik―Ryung(권익륭)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권익륭의 <풍아별곡> 연구
A Study on Pungabyeolgok(풍아별곡) by Gwon Ik―Ryung(권익륭)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朱熹의 ‘淫奔詩’ 考察
A study of ‘Umbun-Si’ by Juhee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牧丹亭」에서 보는 儒家思想 - 湯顯祖가 추구한 ‘情’을 중심으로 -
The confucian ideas from Mudanting's point of view - based on Qing that Tangxianzu had pursed -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漢字文化學 연구 성과를 활용한經書 해석 및 漢字 교육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Study Results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西周陶簋 “筮數易卦”⋅“田獵圖畫” 考論
西周시대 도자기에 그려진 “筮数易卦”와 “田獵圖畵”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西周陶簋 “筮數易卦”⋅“田獵圖畫” 考論
西周시대 도자기에 그려진 “筮数易卦”와 “田獵圖畵”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조선조 社稷樂章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s and Meaning of Joseon Dynasty's Sajik Akja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樣式的 의미의 風개념에 관한 小考
The Origin of the ‘風 Concept’ at the Viewpoint of the Style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樣式的 의미의 風개념에 관한 小考
The Origin of the ‘風 Concept’ at the Viewpoint of the Style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朱熹의 ‘淫奔詩’ 考察
A study of ‘Umbun-Si’ by Juhee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古代 中國 士人의 史評과 引詩
Historical Criticism and Poem of Literati in Ancient China
중국학보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古代 中國 士人의 史評과 引詩
Historical Criticism and Poem of Literati in Ancient China
중국학보 |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漢字文化學 연구 성과를 활용한經書 해석 및 漢字 교육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Study Results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西周陶簋 “筮數易卦”⋅“田獵圖畫” 考論
西周시대 도자기에 그려진 “筮数易卦”와 “田獵圖畵”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西周陶簋 “筮數易卦”⋅“田獵圖畫” 考論
西周시대 도자기에 그려진 “筮数易卦”와 “田獵圖畵”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
|
26 |
2010 |
중국어와문학
詩와 歌의 위계화와 歌의 위상을 둘러싼 제 논의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poetry and songs and critical views on vernacular songs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계찰관악(季札觀樂)을 통해 본 ‘악(樂)’의 의미와 지향
A meaning and intention of ‘Yue(樂)’ through the ‘Jizhaguanyue(季札觀樂)'
중국문학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계찰관악(季札觀樂)을 통해 본 ‘악(樂)’의 의미와 지향
A meaning and intention of ‘Yue(樂)’ through the ‘Jizhaguanyue(季札觀樂)'
중국문학 |
64 |
|
2010 |
중국어와문학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
Rethinking Individualism in Chinese Philosophy: Individuals in Political Communitie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
Rethinking Individualism in Chinese Philosophy: Individuals in Political Communitie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詩經·國風》‘述語+之’中‘之’的地理差異及其分布
The difference and its geographic distribution of Zhi(之)[‘述語+之’] in the 《Ode(詩經)·GuoFeng(國風)》
중국문학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詩經·國風》‘述語+之’中‘之’的地理差異及其分布
The difference and its geographic distribution of Zhi(之)[‘述語+之’] in the 《Ode(詩經)·GuoFeng(國風)》
중국문학 |
62 |
|
2010 |
중국어와문학
試論《诗经‧国风》是否为民间歌谣
A study on whether or not folk song of Shi Jing(詩經) Guo Feng(國風)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문화학
試論《诗经‧国风》是否为民间歌谣
A study on whether or not folk song of Shi Jing(詩經) Guo Feng(國風)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문화학
고전시가를 통하여 본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과 그 문학적 역할
The View on 'Life & Death' and it's literature functions in Chinese Ancient Poetry
중국문학 |
69 |
2011 |
중국어와문학
풍자의 현실 비판적 성격에 관하여 — 詩經과 孟子의 경우 —
About critical character of the satiricalness - In the case of Book of Odes and Mencius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논어』의 시교육론
Theory of Poem Education in the『Confucian Analects』
한국교육사학 |
34 |
3 |
2012 |
교육학
漢代 『詩經』 이해에 나타난 윤리적 정서 — ‘美刺說’을 중심으로 —
Ethical emotions appeared in the understanding of Book of Songs during Han Dynasty - mainly on the ‘Theory of Praise-Criticism’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The Citation and perception of the Odes shown in the Korea-Japan and Korea-China's Diplomatic Conversations during Joseon Dynasty
중국어문논총 |
53 |
2012 |
중국어와문학
≪四書集註≫의 ≪詩經≫引用詩 註解와 ≪詩集傳≫ 註解 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interpretation to Zhuzi`s Shijizhuan and poetry Cited in Sishu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詩經≫에 표현된 ‘생산노동’의 종류와 그 예술성
Modes of Productive Labor and Their Artistic Qualities as Described in the Shijing
중국학논총 |
28 |
2010 |
중국어와문학
≪詩經≫에 표현된 ‘생산노동’의 종류와 그 예술성
Modes of Productive Labor and Their Artistic Qualities as Described in the Shijing
중국학논총 |
|
28 |
2010 |
중국어와문학
≪詩經≫ 속의 植物 意象 고찰 ― 婚姻과 愛情 문화 중심으로
Plant Imagery in the Shijing(≪詩經≫)
중국어문논총 |
50 |
2011 |
중국어와문학
「詩經」 ‘于’字 用法 小考
An analysis on the usages of yu(‘于’) in the Book of Songs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詩經』의 「國風」 小考
『詩經』之「國風」小考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論≪詩經疾書≫的學術文獻價値
A study on the value of ShiJingJiShu's Academic literature
중국어문학 |
58 |
2011 |
중국어와문학
《詩經》 속 춤동작의 의미 재구성
중국어문학지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詩集傳詳說』에 보이는 『詩經諺解』에 대한 번역학적 고찰
Study on the Transl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Classic of Odes shown in Park Moonho's view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